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사과정생의 박사학위과정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Analysis for Doctoral students’ Perception Types on Ph.D. Program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2.03
20P 미리보기
박사과정생의 박사학위과정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5호 / 121 ~ 140페이지
    · 저자명 : 박보람, 정진철, 김민희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박사과정생의 진학동기와 졸업 후 경력경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박사과정생이 학위과정에 대해 갖는 주관적인식 유형을 분석하여 박사과정생 경력개발 지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개인의 고유한 신념,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비구조화표집 방식으로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박사과정생의 학위과정 인식에 대한 58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표본을 추출하였다. P표본선정은 성별, 결혼여부, 재학유형, 전공계열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Q Method software를 활용하여 11점 척도를 기준으로Q분류를 진행하였다.
    결과 박사과정생의 학위과정 인식에 대한 Q요인 분석 결과,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의 「전문성 구축형」은 학위과정을성장과 몰입, 폭넓은 이해와 관점의 확장 기회로 인식하고,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로서 충분한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라 기대하는 유형이다. 유형 2의 「다경험 순응형」은 근로환경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지만 어려운 대학원 생활을 동료들과 함께 극복하고자 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3은 「보상 기대형」으로 학위과정을 취업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박사과정생에대한 경제적 보상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남들과 다른 삶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4의 「네트워크 지향형」은 직업안정성이 전공분야보다 취업에 더 중요하고, 주변인의 지원을 통해 학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진로 및 취업에 학술 네트워킹이 중요하다고생각하는 유형이다.
    결론 박사과정생의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시사점은 첫째, 박사과정생들이 학위과정에 대해 갖는 주관적 인식 차이를 바탕으로 경력개발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박사과정생들이 대학원이라는 학문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성장 및 참여할 수 있는 대학원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박사과정생의 인식 유형과 관련한 맞춤형 진로교육 및 서비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박사과정생이 학위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근로의 관점에서 현실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박사과정생들의 학업, 진로, 취업, 정서적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doctoral students by analyzi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Ph.D. program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method research, the Q methodology, which is widely used to measure individual's beliefs and attitudes, was used.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Q samples consisting of 58 statements on the perception of the degree programs of doctoral students was extracted.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an 11-point scale using Q Method software.
    Results 4 types of doctoral students’ perception were derived. First, “Professionality Building Type” recognizes the degree course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immersion, broad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perspective, and expects to have sufficient competence as a Ph.D. under the guidance of an advisor. Second, “Multi-Experience Adaptation Type” tries to overcome difficult graduate school life with colleagues, though feels in the blind spot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ird, “Reward Expectation Type” recognizes the degree program as a purpose of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feels that there is a lack of economic compensation for themselves, and feels anxious about life different from others. Forth, “Network Oriented Type” believes job security is more important than to major, academic networking is important for career and employment.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of doctora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providing career development support based on the subjectiv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degree program.
    Second, creating a graduate school environment where doctoral students can grow and participate as members of an academic community. Third, supporting customized career education and services based on perception of doctoral students. Fourth, treating activities experienced by doctoral students as labor standard point of view.
    Fifth, preparing systematic support measures for doctoral students to form various human net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