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
-
한일관계사학회 휘보
-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편집부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편집부
-
역사학|
2019.12.12|
26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살림지식총서 『인물로 보는 일본역사』 시리즈에 관한 소개
-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서보경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서보경
-
역사학|
2019.12.12|
5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소가씨 4대(蘇我氏 四代) ; 고대 일본의 권력 가문』 (나행주 지음, 인물로 보는 일본역사2, 살림출판사, 2019)
-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박재용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박재용
-
역사학|
2019.12.12|
5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왜5왕(倭五王) ; 수수께끼의 5세기 왜국왕』(홍성화 지음, 인물로 보는 일본역사1, 살림출판사, 2019)
-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이근우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이근우
-
역사학|
2019.12.12|
6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절해의 석학-근세 일조 외교사 연구(絶海の碩學-近世日朝外交史硏究)』-이케우치 사토시(池內敏) 지음, 2017.2, 일본 나고야대학 출판회(名古屋大學出版會)- (Great Scholars of the farthes..
-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鄭成一
-
역사학|
2019.12.12|
14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벚꽃의 문화접변 - 창경원 벚꽃놀이에서 여의도 벚꽃축제로 - (The Acculturation of Cherry Blossoms -From Changgyeongwon Cherry Blossom Viewing Picn..
-
이 글은 일본제국주의(이하 일제) 지배 하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진 문화접변이 해방 후 한국에서 어떻게 해체되고 새롭게 일어났는지 벚꽃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히라노 겐이치로(平野健一郎)가 「국제문화론」에..
-
역사학|
2019.12.12|
37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일본 신체제운동시기의 생활운동 (The New Life Campaign in New Political Order Movement) (The New Life Campaign in New Political Order M..
-
일본에서는 1937년 중국과의 전쟁이 전면화 되면서 총력전 체제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된다. 1937년 8월 당시의 고노에 내각은 국민정신 총동원실시요강을 결정하였고, 1938년 4월 제국의회 심의에서 국가총동..
-
역사학|
2019.12.12|
29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일본 도호쿠(東北)지방에선 왜 아베정권의 ‘메이지유신 150주년’을 ‘보신(戊辰)전쟁 150주년’으로 기념하고 있을까? (Why does the Northeast Province in Japan Celebrate ‘..
-
2018년은 1868년의 ‘메이지유신 150주년’에 해당한다. 아베정권은 이 시기에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전개하였다. 아베가 ‘메이지 150주년’을 강조하는 이유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애국심을 도출하고, 강력한 ..
-
역사학|
2019.12.12|
39페이지| 6,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18세기 후반 쓰시마 간사재판(幹事裁判)의 교섭 검토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Tsushima Domain’s Gansa Jaepa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
-
본고의 목적은 18세기 후반 조선에 파견된 쓰시마의 간사재판이 어떠한 교섭을 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종래 간사재판으로 분류된 마쓰우라 산지(1754), 시마오 다다에몬(1765), 도다 산자에몬(1..
-
역사학|
2019.12.12|
43페이지| 9,000원|
조회(0)
-
미리보기
-
-
18~19세기 對馬 지식인들의 ‘藩屛’론 -역사서 편찬에 보이는 자아인식 형성- (Tsushima intellectuals’ Arguments of ‘Hampei’ in 18-19 century) (Tsushima ..
-
쓰시마 유학자인 아메노모리 호슈는 『隣交始末物語』속에서 “쓰시마는 고대 이래 일본 내에서 번병 제일의 요지였다”고 하는 주장을 표함으로써 에도막부에 쓰시마번에 대한 경제원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미쓰야마 라이카는 호..
-
역사학|
2019.12.12|
47페이지| 9,000원|
조회(0)
-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