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읽기 독서교육과 문학교육의 교과론 (Subject Theory of Reading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12
36P 미리보기
읽기 독서교육과 문학교육의 교과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서연구 / 22호 / 79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창원

    초록

    이 글은 읽기교육, 독서교육, 문학교육의 개념과 관계를 살펴보고, 국
    어교과의 틀 안에서 그들의 위치를 정위하고자 한 글이다. 좁은 의미의 읽기
    교육은 읽기에 관한 지식과 기능, 전략 등을 가르치는 것으로, 초등학교~중
    학교 중학년 수준에서 기본 목표에 도달하게 된다. 그에 비해 독서교육은 기
    초⋅기본 문식성을 갖춘 후에 범교과적으로 지속되는 교육으로, 학년이 올
    라갈수록 독서물의 범위와 내용 수준이 넓고 깊어지게 된다. 문학교육은 구
    술문학과 문자문학을 모두 포함하므로, 읽기교육 이전부터 시작되어 학년이
    올라갈수록 예술 및 학문으로서의 문학의 속성이 강조된다.
    현재의 학교교육은 읽기교육과 독서교육을 혼용할 뿐 아니라, 읽기⋅
    독서교육과 문학교육의 관계에 대해서도 모호한 관점을 취하고 있다. 초급
    단계에서는 읽기교육과 독서교육의 상호성이 강하고 문학 텍스트 읽기가 읽
    기 능력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초등학교~중학교 중학년 수준
    까지는 읽기⋅독서⋅문학교육을 통합하여 넓은 의미의 읽기교육으로 접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좁은 의미의 읽기교육은 비중을
    줄이고, 범교과적인 교양⋅지식으로서의 독서교육과 예술⋅학문으로서의
    문학교육을 나누어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려면 읽기와 문학 관련
    내용을 애매하게 포괄하고 있는 ‘독서’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획기적
    으로 개선하고, 국어교과 안에서 독서교육과 문학교육의 성격 및 비중을 발
    달 단계에 따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 tried to distinguish the concept of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reading books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and to settle them into the
    framework of subject ‘Korean’ in this paper.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and reading books education have been dealt with ‘reading education’ simply
    in public eduction. However,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purpose
    and nature, and must be taught separately in school education.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in the narrow sense of reading
    education, try teaching knowledges, skills, and strategies of reading. And
    students could reach the target level by primary or early middle school stage.
    Reading books education is a cross-subjects education that could be pursued
    after gaining the basic reading literacy. Students could read books more deeply
    and widely within theme, structure, and style as growing older. Literary
    education includes both of the oral literature and literal literature, so students
    have to enjoy literature before starting reading education and to read more
    artistic and scholastic works as growing older.
    School education of South Korea takes an ambiguous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reading books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integrate reading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by primary school stage, because reading literary texts
    is essential to develop reading skills. However, they have to separate after
    middle school stage to reading books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as an art and study on literature. To do this, the curriculum
    standard and textbooks of subject ‘Highschool Reading’ have to change
    dramatically by distinguish the concept from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