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자료
· '국가교육과정 개발·적용·평가의 순환체제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2020년 12월)
· 「문교부령 제35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 배당기준령」, 1954. 재인용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2015-100호(2015.11.30.) 「교과용도서 검정 실시 공고」에 따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 기준』
· 『교육부 고시 제 1992-1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5,
·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 단행본 및 학술논문
· 박봉철, 「교과용도서의 개발 및 수정에 관한 법적 절차 개관」, 『법학논총』40, 2020,
· 송무, 「영문학에 대한 반성」, 민음사, 1997,
· 송무, 「문학교육의 ‘정전’ 논의」, 「문학교육학」 창간호, 1997. 한국문학교육학회,
· 차혜영, 「한국 현대소설의 정전화 과정 연구-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와 지배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2005.
· 차혜영, 「국어 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 1차~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상허학보」, 상허학회, 2005.
· 오성철, 「박정희의 국가주의 교육론과 경제성장」, 『역사문제연구』11, 2003.
· 강진호, 「국가주의의 규율과 ‘국어’교과서-1~3차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2007.
· 한수영, 「문학교과서와 소설 교육의 이데올로기」,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06.
· 최지현, 「한국 현대시 교육의 담론 분석 - 1940년대 저항시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4.
·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 서울대 대학원 박사 논문, 1996.
· 최지현, 「문학교육에서 정전과 학습자의 정서체험이 갖는 위계적 구조에 관한 연구」, 「문학교육학」 제5호, 2000 여름, 한국문학교육학회.
· 서경석, 「정전의 해체와 생성」, 「한국문학」 , 1997. 봄호.
· 윤여탁, 「교재 구성을 위한 현대시 정전」, 「리얼리즘의 시 정신과 시 교육」 , 소명출판, 2003.
· 윤여탁, 「현대시 제재의 교육적 위계에 대한 연구」,「국어교육」9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97. 「시 교육론 ․Ⅱ」,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재수록.
· 김중신, 「문학교육의 이해」, 태학사, 1997.
· 박용찬, 문학교과서와 정전의 문제, 국어교육연구제38집, 국어교육학회, 2005.12.
· 박숙자, 정전의 문화사: 해방후 『국어』 교과서와 문학정전, 『어문론총』, 한국문학언어학회, 2005.12.
· 김근호, 「문학교육에서의 국민 형성을 위한 정전과 감정의 역학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 현대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2017.2.29.
· 이현진, 「2015개정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현대 소설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노희방·조은미, 「미국의 교과서 채택 제도」, 교과서연구47, 2006,
· 고영화, 「문화비평적 문학교육 설계를 위한 교재 개발 방향 연구」,『인문과학연구』, 20
· 김정례, 「하이쿠의 시적 상상력과 일본문화적 특성」, 인문과학83, 2001,
· 우한용, 『한국 근대문학교육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 에릭 홉스봄, 강성호(역), 역사론, 민음사, 2002.
· 라영균, 「정전과 문학정전」, 『외국문학연구』7,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0.
· 강영미, 「1960~70년대 시의 전통과 정전 형성에 관한 연구」, 『민족문학사연구』31,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06.
· 김중신, 「문학교육에서의 정전 형성 요건에 관한 시론-이상(李翔)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25,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 양윤모,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과 정전의 형성 과정 연구-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교과서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한국어문교육』12, 2012.
· 호문정, 「한·중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현대문학 제재 비교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논문, 2021,
· 손정희 외,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77, 2021.
· 그 밖의 출처
· 과학산업 전문 매체 대덕넷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