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게 무상을 배급되면서, 일반인도 우유를 먹게 되었다. 특히 한국전쟁이 끝난 뒤인 1955년경에는 점심을 거르는 어린이들에게 구제급식으로 이 분유가 주어짐으로써 한층 일반화되기에 이르 ... 이 강조되었다. 보리혼식은 그 뒤 60년대 후반에 이르러 각종 요식업자들에게 혼합 조리를 강요함으로써 한층 강화되었다. 이러한 보리혼식의 장려가 그 때의 식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 ... 이 되었다. 반면에 다시 우리의 전통 식생활 습관에 근거를 둔 올바른 식사법이 모색되기에 이르렀다.합리적인 식생활 방안의 모색영양 과잉 내지 영양 편중 현상이 빚은 성인병 발생의 증가
뒤인 1955년경에는 점심을 거르는 어린이들에게 구제급식으로 이 분유가 주어짐으로써 한층 일반화되기에 이르렀다. 이같은 우유의 일반화는 그 동안 보수적인 식생활 습관이나 경제 ... 은 우리의 식생활을 전통 식사법으로 가져가자는 의견에서 나온 것이다. 이 의견에 따르면, 영양 균형상 주식인 쌀은 산성이므로 부식은 같은 산성인 어류나 육류보다는 알칼리성인 채소 ... , 과일, 해조류 등이 적당하다는 것이다.합리적인 식생활 방안으로는 또, 부존식량 자원에 대한 활용이 요구되었다. 이것은 국내에서 생산된 신선한 재료로 조리된 음식이 가장 맛이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