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병국, “지방의회의 행정사무감사(조사)의 실효성 확보방안”, 「월간 자치발전」, 9권 11호 통권 103호, 한국자치발전연구원, p.138, 2003. 11
· [2] 김병국, “지방의회의 행정사무감사의 중요성과 실효성 확보”, 「월간 자치발전」, 10권 10호 통권 114호, 한국자치발전연구원, pp.16~22, 2004. 10
· [3] 김순은, “지방의회의 집행기간에 대한 견제・감시기능, 「지방의회연구」, 제9권,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1999
· [4] 김유환,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사무에 대한 감사체계”, 「지방자치법연구」, 제1권 제2호, 한국지방자치학회, 2001. 12
· [5] 김종성, “지방의회의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 「자치행정」, 통권 180호, 지방행정연구소, pp.77~79, 2003. 3
· [6] 남윤일, “지방의회 사무감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2, 2002
· [7] 송광태, “지방의정활동 1년간의 평가와 발전방향”, 「자치통신」, p.9, 1992
· [8] 어성준, “지방의회의 행정사무감사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9] 이상윤, “지방행정사무 중복감사 극복방안”, 「한국지방자치학보」, 제10권 제1호, 한국지방자치학회, 1998
· [10] 이상희,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11] 이병인, “지방의회 행정사무감사의 실태와 개선방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1, 2000
· [12] 이병환, “자치단체감사의 새로운 모색”, 「지방행정」, pp.71~74, 1996
· [13] 이용우, “지방의회 행정사무감사의 효율성 제고 방안 : 감사팀원과 자료수집방식의 다양화”, 「지방의정」 제6권 제1호 통권 제28호, 지방의회발전연구원, pp.29~37, 2003
· [14] 이재응・서영조, “행정사무감사의 실제와 개선방향”, 「지방의회연구」, p.131, 1996
· [15] 장황래, “행정사무감사・조사기능의 한계와 문제”, 「지방자치」, 한국행정학회, p.151, 2001
· [16] 정세욱, “행정사무감사는 지방의원의 핵심적 책무이다.”, 「자치공론」, 한국지방자치개발원 5호, pp.129~136, 1999
· [17] 정승현, “행정사무감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0~46, 2003
· [18] 최민수, 「지방의회운영」, 서강출판사, p.448, 2002
· [19] 최진옥, “지방의회 행정사무감사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3, 2003
· [20]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외국의 지방자치단체 비교연구”, pp.28~29, 1986
· [2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제하의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에 관한 연구”, p.98, 1988
· [22] 하승수, “지방의회의 행정사무감사, 국정감사와 어떻게 다른가?”, 「월간 자치발전」, 10권 10호 통권 114호, 한국자치발전연구원, pp.30~36, 2004. 10
· [23] 황영하, “행정사무감사의 효율성 제고방안”, 「가톨릭상지전문대학논문집」, 제27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