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상 기본의무의 실현 (Realization of Basic Duties in the Constitu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4.02
34P 미리보기
헌법상 기본의무의 실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5권 / 1호 / 93 ~ 126페이지
    · 저자명 : 강일신

    초록

    오늘날 헌법학에서 “헌법공동체 구성원인 주권자시민이 헌법에 근거하여 그 공동체 대하여 갖는 부담”을 뜻하는 기본의무는 “잊혀진” 주제영역이다. 시민적 법치국가를 표방하는 자유주의 헌정질서에서, 기본의무는 “이질적인” 요소일 뿐이다. 그러나, 공평하고 합당한 기본의무의 배분․분담없이는, 헌법국가 그 자체의 실존적 구성․유지도, 시민들의 자유실현도 그리고 사회통합도 요원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은 기본의무의 배분․실현과 관련한 헌법해석론적 쟁점들을 재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민주적 헌법국가에서 기본권과 기본의무가 맺는 관계를 설정하고, 기본의무 실현의 헌법원리적 한계를 제시한 후, 근자에 우리 헌법실무에서 쟁점으로 등장한 기본의무구체화법률에 대한 위헌성심사기준 관련쟁점을 고찰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본의무를 민주주의원리, 사회복지국가원리, 법치국가원리라는 헌법원리속에 위치시킴으로써, 민주적 헌법국가에서 기본의무실현이 어떠한 이념적 기초하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다음과 같이 확인한다. 첫째, 민주주의원리는 기본의무를 대의기구인 의회가 직접 결정하라는 명령 이상을 포함한다. 현행헌법상 근로의무규정에서 발견되는 “민주주주의 원칙에 따라”라는 입법형성권 제약조건은 단순한 ‘수사’(修辭) 또는 법률제정과정의 합헌성을 뜻하는 것으로 새길 것이 아니고, 민주주의의 전제조건인 사회통합 그리고 사회세력간 균형을 촉진하라는 명령으로 새겨야 한다. 둘째, 기본의무는 복지국가실현, 그에 기초한 민주주의실현에 직․간접적으로 공헌한다. 다만, “개인이 스스로의 주도하에 그리고 스스로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을 개인에게서 박탈하여 공동체의 활동으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보충성원리는 기본의무의 관철을 통해 국가가 지향하는 목표와 의무주체의 자율적인 결정능력 간 조화․균형점을 모색해야 한다는 명령으로 나타난다. 셋째, 절차적․형식적 법치국가원리의 요소들인 적법절차원칙, 법률유보원칙, 명확성원칙, 법률불소급원칙 등은 당연히 기본의무구체화입법을 통제하는 한계원리들로 작동한다. 한편, 기본의무를 구체화하는 법률의 내용통제와 관련하여서는, 과잉금지원칙보다 평등원칙, 부당결부금지원칙, 본질적 내용 침해금지원칙이 중요한 법치국가적 한계원리로 부각된다.

    영어초록

    Basic duties, which signify burdens to a constitutional community that the sovereign citizen as a member bear, are “forgotten” subjects in the contemporary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In a liberal constitutionalism, basic duties are “disparate” elements. However, without the fulfillment of basic duties that are distributed equally and properly among the citizens,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the existence of a constitutional state itself, and to protect the citizens’ liberty and the social cohesion. On this account, this article reviews constitutional issues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basic dutie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ders the relation between the limitation of basic rights and the materialization of basic duties and proposes constitutional limitations on the legislative formation of basic duties in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Especially,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ideal found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basic duties in a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and its normative limitations, through positioning basic duties at somewher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inciple of democracy,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and the principle of welfare state. Firstly, the principle of democracy for basic duty means something more than the basic duties concluded by representatives. The phrase, “in conformity with democratic principles”, of the duty to work clause in the Korean Constitution,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requirement of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egislative procedure or just a rhetoric, but as a facilitator for the social cohesion and a balance between social power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principle of welfare state, basic duties make social rights realized and contribute to develop democracy directly and indirectly.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however, which refers to the restriction on a state’s paternal interventions in what an individual can handle by herself to take care of it publicly, demands the harmonization of state intervention and autonomous decision power of individuals through realization of basic duty. Finally, with regard to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its procedural and formal elements, such as the due process principle, the statute reservation principle, the void for vagueness principle, the protection of trust principle works for limitations on the legislative formation of basic duties. At the same time,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n unjustifiable connection, an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n infringements of the core of basic rights hold greater significance tha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