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하기ㆍ듣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적절성’에 대하여 (Appropriateness in Speaking and Listening Curriculu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8.12
26P 미리보기
말하기ㆍ듣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적절성’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화법연구 / 13호 / 181 ~ 206페이지
    · 저자명 : 오현진

    초록

    이 연구는 말하기와 듣기 교육의 목표나 내용으로서 교육과정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그 개념이나 범위가 불분명하였던 ‘적절한’, ‘적절하게’, ‘적절히’ 등과 같은 용어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적절성’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을 정의하고, 말하기와 듣기 중 고려해야 하는 적절성의 원리를 정리해 보았다. ‘적절성’은 화자와 청자가 의사소통의 상황이나 목적을 고려하여 그에 가장 부합하고 자연스러운 것을 선택하여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적절성에 대한 이와 같은 정의를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에서 적절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항목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1) 개정 교육과정이나 해설의 어느 곳에서도 적절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개념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적절한 말하기와 듣기의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상황’에 대한 범주가 불분명하다. 3) 적절성과 관련된 내용 항목들이 성취 기준과 내용 요소의 학년별, 영역별 관련성이나 연계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 제시되었다. 4) 적절성과 관련된 ‘반응의 적절성’의 비중이 7차 교육과정에 비해 오히려 약화되었다.
    ‘적절성’은 정확하고 효과적인 말하기와 듣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 중 하나이다. 이에 말하기․듣기 교육의 지침이자 안내서라고 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해설에서 ‘적절성’에 대해 보다 명시적이고 구체적으로 진술해 주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systemically look at terms which are uttered many times as the purpose or content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yet whose range or concepts were ambiguous-such as ‘appropriate’, ‘appropriately’, ‘in appropriate ways’, and so on.
    To do this, the concept of what ‘appropriateness’ was first defined, and appropriateness principals considered between speaking and listening were summarized. ‘Appropriateness’ can be stated as the ability for the speaker and listener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by selecting the most compatible and natural thing, with considerations on their communicational situation or purpose.
    Based on this definition about appropriateness, when we summarize the content articles directly/indirectly connected to appropriateness in the revised curriculum, we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1) A specific and clear conceptual definition about appropriateness was not formed in any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or commentary. 2) The range of the “situation” which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appropriate speaking and listening is unclear. 3) The content articles related to appropriateness were su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 or connection between divisions of grade and field along satisfaction standards and content factors. 4)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ness of reflection’ related to appropriateness became rather weak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
    ‘Appropriateness’ is one of the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needed to improve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ies. Therefore, ‘appropriateness’ in the curriculum and commentar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guide and handbook of speaking/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more clear and specif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화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