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메니우스의교육사상과교사상연구
- 최초 등록일
- 2018.12.21
- 최종 저작일
- 2018.03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현대 교육의 아버지인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과 코메니우를 연구함으로서 현대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초석이 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목차
Ⅰ. 서 론
분제제기와 연구 목적
Ⅱ. 코메니우스의 사상 형성 배경
1. 코메니우스의 생애
2. 코메니우스의 사상적 배경
Ⅲ.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1. 교육의 기본 원리
2. 교육의 목적
3. 교육방법
4. 교육의 내용
5. 교육의 도구
Ⅳ. 코메니우스가 주는 시사점
1. 코메니우스의 교사상
2. 현대 교사상에 주는 시사점
Ⅴ. 결론
본문내용
코메니우스가 가지고 있는 교육사상은 지식과 신앙의 양대 기둥을 초석으로 한다. 이 지식과 신앙은 유럽의 사상적 두 조류로서 지식은 자연을 대상화 한 것이고 신앙은 신을 지향한 것이다. 그러므로 코메니우스에게 있어서는 인간의 이성과 신 중심적 신앙은 전인 교육의 기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코메니우스가 이러한 교육의 기본적인 요소를 가지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어려서부터 아버지로부터 성경의 원리에 따르는 교육을 받으며 자라왔고, 30년 전쟁을 겪으면서 현실적으로 인간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많이 경험한데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코메니우스는 성경과 인간과 자연에 관한 올바른 지식, 즉 범지혜라고 하는 교육철학을 전제하여 범교육이라고 하는 교육방법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의 실제적 의도는 세상에 태어난 모든 사람들이 세상의 모든 것(자연, 정신, 성경)에 관하여 철저하게 전 포괄적인 방법으로 삶의 지혜를 배우게 하려는 것이었다. 그런 뜻에서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은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혜를 배우게 하는 참 인간성 교육(지정, 덕성, 경건성)의 표본이 아닌가 생각한다.
코메니우스에 있어서, 이성과 신앙은 이처럼 그의 교육의 중심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이성은 지혜를 배양하고 진리를 추구하는 교육의 본래적인 기능을 그리고 신앙은 인간 내면세게에 빛을 발산하게 하는 본질적 속성이 된다. 여기에서 그는 이성과 신앙의 빛을 발할 수 있는 길은 모든 지혜의 근원이 되는 자연 세계와 인간 자신과 그리고 하나님의 진리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기본적인 공리(公理)를 설정하고 있다.
코메니우스의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자연적, 이성적, 신적인 진리의 상관적 관게에서 이해된 지식의 완전성을 성취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인간의 마음을 밝게 비춰주는 지혜와, 지혜의 배양을 추구하는 교육은 인간의 이성과 신앙의 잠재력을 모두 실제적으로 배양하여 조화를 이루게 하는 인간 교육의 근본적인 요소들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안건상, 「코메니우스의 범교육론 연구」, (서울:을지사, 1985), 12-13쪽.
판 데어린데, 「미래를 가진 하나님의 세계」, 정일웅 옮김, (서울:여수룬, 1999), 22족.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회 편,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Ⅱ」, (서울:교육과학사 1998), 23쪽.
정영수, “코메니우싕 교육사상 연구”, 「근대 교육에 있어서 코메니우스의 위상」, (미간행유인물,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1992학술대회발표자료), 1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