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교법적 연구 (A Comparative Law Study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9.12
32P 미리보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교법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유럽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럽헌법연구 / 31호 / 427 ~ 458페이지
    · 저자명 : 고기복

    초록

    유럽연합은 2018년부터 한층 구체화되고 정보주체의 권리가 강화된 GDPR을 시행하고 있다. GDPR은 지능정보사회에 걸맞게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하면서 개인정보의 활용에 있어서 보다 탄력적 대응을 통하여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한국은 개인정보보호법제가 단일법 형태가 아니라 복수법으로 분야별로 시행되고 있어서 개인정보침해에 대하여 신속하고 통일적인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다. 그래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통일된 법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영어초록

    A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in 2011,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was established that unite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lthough the legislative environment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as systemiz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hanged once again with the bursting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f the three card companies.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rohibits the collection of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social security numbers, in the private sector. Nevertheles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cidents continue to occur. In Korea,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s the basic law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ut various laws deal with personal information, so a unified and systematic leg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e modern information society is moving toward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due to the wide use of data. The European Union has already enacted and implemented the Privacy Guidelines in 1995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privacy. In 2002,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s were prepared in the area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ince then, privacy has been upgraded to basic rights through the European Charter of Human Rights.
    The European Union has implemented a GDPR that has been further embodied since 2018 and strengthened the rights of data subjects. GDPR strengthens the rights of information subjects in line with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improves efficiency through more flexible responses i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 contrary, Korea's privacy protection legislation is implemented not by a single law but by plural law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and uniformly to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Therefore, a unified legal system must be established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of oversight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Commission must first become a fully independent institution and authorize equivalent international standards. The Privacy Commissioner shall establish a legal status as a central authority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uthority to supervise, investigate, and execute the supervisory authority should be granted. In addition, the rights of information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meet the new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specify the right to mov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ight for automated decision-making, and to specify the conditions of foreign reloc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seudonym processing system, overall improvement is needed, such as activating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s the European Union implements GDPR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new era of intelligent information, legislation is need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The European Union has upgraded the right to privacy to basic rights through the Charter of Basic Rights. Accordingly, various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ere prospectively included in GDP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hould also be improved and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lligent information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럽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