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제입니다. 과제 활동 유형 중 ‘정보 차이 활동’, ‘추론 차이 활동’, ‘의견 차이 활동’을 하기 위한 말하기 활동지를 작성하십시오. 각 활동마다 초급과 중급의 활동지를 작성해야 합니다. 총 6개의 말하기 활동지를 작성하십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05.21
- 최종 저작일
- 2020.04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90점 받은 과제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정보 차이 활동
1) 초급
2) 중급
2. 추론 차이 활동
1) 초급
2) 중급
3. 의견 차이 활동
1) 초급
2) 중급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말하기는 화자의 생각과 감정, 정보 등을 비언어적 요소와 함께 음성 언어로 표현하여 화자와 청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행위를 말한다. 말하기에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달하기 위한 사고 과정, 물리적인 음성 표출 행위 화자와 청자의 상호작용 등이 총체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의사소통에서는 몸짓,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가 5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는 연구도 있다. 그러나 음성 언어로 의미를 구성하고 내용을 전달하는 말하기는 상호작용 속에서 계속되는 참여자 간 의미협상 과정이므로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할 뿐 만 아니라 상대방의 의사를 충분히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하면서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활동은 학습자에게 말하기 연습과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적 구어 연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의미한다. 그리고 말하기 활동은 학자에 따라 다르게 유형화하고 있다.
이에 Prabhu는 과제는 학습자들이 사고의 과정을 통해서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결과에 도달할 것을 요구하는 하나의 활동이며, 이 활동을 교사가 통제하고 그 과정을 규제하도록 허용하는 것 (Prabhu, 1987:24)이라고 하였고 Prabhu의 3가지 과제 유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정보차이활동(information-gap activity)
학습자에게 정보를 나누어 주고 서로의 정보교환을 통해서 하나의 완전한 정보로 만드는 활동을 말한다. 즉 주어진 정보를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로,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달하는 것이다.
2) 추론차이활동(reasoning-gap activity)
주어진 정보를 추론하게 함으로써 몇 가지 새로운 정보를 끌어내게 하는 활동이다. 예를 들어 기차 시간표를 보고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가는 가장 좋은 방법을 찾아내게 하는 활동이 이에 속한다.
참고 자료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1, 2(국립국어원, 한글파크, 2018)
경희 한국어 말하기2, 3(화우 출판사, 2014)
한국어 교육학 사전(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하우출판사, 2014)
한국어 표현교육론(김선정 외 3명, 형설출판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