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교육과정평가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서론
2.7차교육과정의 개요
3.7차교육과정의 특성
4.7차교육과정 개정 시의 전제조건
5.결론
본문내용
우선 무상 의무교육의 연한 증가에 따른 예산배정의 문제와 더불어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고등학교 2, 3학년에서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적용에 관한 문제가 논의되었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에서 종래에는 고려하지 않았던 재량활동의 추가로 인한 문제와 더불어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의도한 대로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 교사의 증원을 통한 실질적인 학습자의 선택이 보장되어야 한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에서는 그나마 소수의 학습자가 특정한 과목을 선택하여도 어떻게 하든 교사를 확보할 수가 있겠으나, 그 외 대부분의 지방에서는 기본 교과의 교사 수도 모자라는 형편에서 선택 교과의 교사를 확보한다는 일이 쉽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학습자 재량에 의한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은 공염불에 불과할 수 있다는 결론이었다. 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종의 기본 트랙(track) 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즉, 일시적이나마 특정한 교과 군으로 편성한 몇 가지의 기본 트랙을 편성하여 각각의 독립된 교과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트랙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인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주장이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교사 수의 증원은 필수적 사항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