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개혁심의회, 제1차 교육개혁종합보고서, 1986.
· ______, 교육개혁안, 1987.
· ______, 10대 교육개혁, 최종보고서 Ⅰ, 1987.
· ______, 교육개혁종합구상, 최종보고서 Ⅱ, 1987.
· 교육개혁위원회, 한국교육개혁백서, 1998.
· ______,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1995, 5, 31.
· ______,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Ⅱ), 1996, 2, 9.
· ______,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Ⅲ), 1996, 8, 20.
· ______,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Ⅲ), 1997, 6, 2..
· 교육부, 교육50년사, 1998.
· ______, 평생교육백서, 1997.
· 교육정책자문회의, 제1차 종합보고서, 교육발전의 기본구상, 1991, 2.
· ______, 제2차 종합보고서, 교육발전의 기본구상, 1992. 5.
· ______, 21세기 한국 교육의 선택, 1992.
· 21세기의 한국적 교육개혁의 방향연구위원, 21세기의 한국적 교육개혁의 방향, 서울: 하우, 1996.
· 남정걸, 한국교육정책 및 제도 : 50년의 성과와 반성, 교육이론 제10권 제2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1996.
· ______, 교육조직행위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7.
· 김신복 외, 교육정책론, 교육행정학 전문서 1, 한국교육행정학회, 1996.
· 김인회 외, 교육개혁의 종합평가와 새 정부의 과제, 정책연구 제87집,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1997, 12.
· 김종철 외, 한국 고등교육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88-17-48. 1989.
· 문교부, 80년대의 한국교육개혁:교육행정백서, 1993.
· ______, 문교40년사, 1988.
· ______, 교육개혁 장·단기 추진계획 제1차 수정계획(1989-2001), 1989, 11.
· 서정화·노종희·정영수·김은산, 고등교육 개혁방안 평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16권 제2호, 1998.
· 손순종, 90년대 교육개혁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논의, 교육학연구, 제34권 제1호, 1996.
· 윤정일, 한국교육개혁의 역사적 고찰, 한국교육혁신연구회 편, 교육혁신의 반성과 진로, 서울:교육과학사, 1991.
· 이귀윤, 교육개혁의 진단과 과제, 교육학연구, 제35권 제2호, 1997.
· 이영탁·정기오·정봉근, 지식경제를 위한 교육혁명, 삼성경제연구소, 1999.
· 이종각, 학교 교육의 실상과 개혁의 방향, 교육학연구, 제31권 제4호, 1993.
·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교육사자료집(상), 서울:홍지원, 1992.
· 한준상, 문민정부의 교육개혁 평가, 한국교육개발원편, 한국교육평론, 서울:교육과학사, 1997.
· 허형, 고등교육 개혁의 진단, 교육학연구, 제35권 제2호, 1997.
· Carlson, Richard O..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Organizational Consequences:The Public School and Its Clients, Behavioral Science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63rd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Ⅱ(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262-78.
· Weick, Karl E.,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Loosely Coupled Syste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1, March 1976: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