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4차 산업혁명 진입정책 (Entry Poli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7.11
22P 미리보기
제4차 산업혁명 진입정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제규제와 법 / 10권 / 2호 / 32 ~ 53페이지
    · 저자명 : James B. Speta, 김재광

    초록

    제4차 산업혁명은 시장, 생활양식, 그리고 아마도 정부와근본적인 사회질서의 급진적인 재편성의 조짐을 보인다. 실제로, 제4차 산업혁명은 광범위하게 다른 기술들로부터 근본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의 전제들은 정부 정책에 대하여 보통 수준의 요구를 한다는 것을 논증하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 일반적인 원칙은 경쟁과 규제 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새롭고 놀라운 방식의 혁신이 이루어질 것이므로 정부가 가장 근본적으로 해야 할 일은 시장으로의 진입을 보장하는 것이다. 실제로 진입은 모든 영역에 걸쳐 근본적인 표어가 되어야 한다.
    두 가지 법률 영역과 두 가지 정책 분야 - 경쟁법과 규제산업법, 교육과 연구기금 - 에 중점을 맞춤으로써 정부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이루어질 예측 불가능하지만 체계적인혁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정비하기 위한 단계적인 조치를확고하게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의 진입정책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각각의 영역을 확인해서, “진입”을 안내지침으로 하여 다른 분야(이 논문에서는 종결부까지는 적어도 지적재산권 정책은 다루지 않고 있다.)의 정책들을 안내할 수 있다는 결론을 맺고 있다.
    경쟁법에서 진입정책은 계속해서 카르텔을 공격해야 하며, 수직적 제약에 대한 미국식 접근법과 혁신 효과에 민감한 합병 검토를 요건으로 한다. 규제분야에서 각 정부는 경제적 규제로부터 보건과 안전을 분리해야 하고, 집요한 독과점과의 상호 연관성을 확보해야 하며, 외부성을 직접적으로 공격해야 하고, 서로 앞 다투어 중립적인 보편 서비스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오류가 없도록 하려면, 좁게 규정된 진입의 의미나 의미자체만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야기되는 수많은 쟁점들을 모두 다룰 수는 없다는 점이다. 예상되는 혁신으로 인해상당한 실업, 인구이동, 불평등, 그리고 심지어 안전과 보안문제도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진입정책을 인간의 시장 진입과 교육의 공공재적인 측면에 민감한 확대경을 통해들여다본다면, 안내지침으로서 진입은 제4차 산업혁명으로인한 충격적인 효과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해결책이 될 수있는 정책을 지원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mises the radical reshaping of markets, of lifestyles, and, perhaps, even of governments and fundamental social order. Inde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sumes that innovation will come from widely disparate technologies into widely disparate markets, in fundamentally unpredictable ways.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emis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mand modesty about government policy, but nevertheless suggest certain general imperatives that should focus competition and regulatory policy. Becau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mises innovation in new and surprising ways, the fundamental government imperative should be to ensure entry into markets. Indeed, entry should be the watchword across all domains.
    Focusing on two bodies of law and two areas of policy — competition law, regulated industries law, education, and research funding — governments can take concrete steps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the unpredictable and systemic innovation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mises.
    This paper starts by establishing the importance of entry polic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n moves to each of the identified areas, concluding by noting that “entry” as a guiding principle can shape policy in other areas (and justifying this paper’s ignoring intellectual property policy, at least until the coda). In competition law, entry policy requires continuing to attack cartels, a U.S.-style approach to vertical restraints, and merger review that is sensitive to innovation effects. In regulation, governments should separate health and safety from economic regulation, ensure interconnection to persistent monopoly, attack externalities directly, and set competitively neutral universal service policy.
    Lest there be any mistake, entry defined narrowly or acting on its own cannot address all of the issues crea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xpected innovations may create significant employment losses, population displacement, inequality, and even safety and security issues. But if entry policy is seen through a broad lens, one that is sensitive to human entry into markets and the public good aspects of education, entry as a guiding principle can support policies that themselves remedy some of the more jarring eff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규제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