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녹색시범도시 추진 및 발전방안
- 최초 등록일
- 2011.12.30
- 최종 저작일
- 2011.06
- 4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0원

소개글
학사논문입니다.
목차
표 차례 ⅲ
그림 차례 ⅳ
국문 요약 ⅴ
제 1 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제 2 장 녹색도시의 이론적 고찰 3
1. 녹색성장과 녹색도시의 변천 3
1) 녹색성장 패러다임 3
2) 녹색도시의 변천 4
3) 녹색도시의 개념 6
2. 녹색도시 관련 사례 7
1) 국외 녹색도시 사례 7
2) 국내 녹색도시 사례 13
제 3 장 강릉시 녹색시범도시 추진현황 및 문제점 18
1. 강릉시 녹색시범도시 추진현황 및 실태분석 18
1) 추진현황 18
1) 실태분석 20
2. 강릉시 녹색시범도시와 국내외 녹색도시의 비교 22
3. 강릉시 녹색시범도시의 문제점 24
1) 정부지원 상의 문제점 24
2) 지자체 추진 상의 문제점 26
3) 민간차원의 문제점 27
제 4 장 강릉시 녹색시범도시 발전방안 29
1. 정부의 지원 29
2. 지자체의 역할 30
3. 민간차원의 협력 33
제 5 장 결 론 36
참고문헌 38
본문내용
국문 요약
강릉시 녹색시범도시 추진 현황 및 발전방안 모색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환경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지난 100년 세계 평균기온은 0.74℃ 상승하였으며 금세기말 세계 평균기온은 최고 6.4℃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 지구적 기온상승은 가뭄과 홍수, 폭염과 더불어 생태계 파괴 등의 형태로 나타나 인류를 위협한다. 스턴보보고서에 의하면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손실은 매년 세계 GDP의 5~20%에 해당한다고 한다. 또한, 글로벌 에너지 자원 고갈위기의 심화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전 세계적 경제성장 및 신흥경제국들의 에너지 자원 수요의 증가로 에너지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또, 전 세계 에너지원의 85%를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는 이 상황은 한정된 에너지 자원의 고갈을 가속화 시킨다. 이러한 에너지 수요는 세계적으로 분쟁을 야기하고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증가시켜 지구 온난화 현상을 발생시킨다.
참고 자료
강릉시. 2010.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조성사업 국고보조율 상향조정 건의
강릉시. 2010. UAE MASDAR 도시개발계획
강릉시 외. 2010. 중국 저탄소 녹색도시 견학 공무국외여행 귀국보고서
강릉시 외. 2009.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전문가 및 기업 초청 세미나, 환경부
김남대. 2010.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마스터 플랜”,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관계기관 워크숍
김우열. 2011. 강릉시 CNG버스도입 ‘무관심’,「강원도민일보」
김학선. 2009. “전통문화와 관광을 융합한 녹색도시 제안”, 저탄소녹색시범도시 워크숍
박석현. 2010. “녹색시범도시 개발계획수립 방안”,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관계기관 워크숍
박희경. 2010. “녹색성장과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CO₂BAU 대비 30% 저감을 향하여”. 저탄소 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인프라재생 공개강좌
이재준. 2010. “국․내외 우수사례를 통한 사업추진방향 제언”. 강릉저탄소 녹색시범도시조성사업:관계부처 및 전문가 워크샵
이종연. 2010. “강릉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조성사업-추진현황-”. 강릉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조성사업:관계부처 및 전문가 워크샵
유형재. 2011. 녹색시범도시 강릉시, ‘녹색 체험센터.광장’조성, 「연합뉴스」
정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