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시 형성 과정의 제문제 (An Aspect of Forming and Taking Root of Modern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4.11
24P 미리보기
근대시 형성 과정의 제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37권 / 85 ~ 108페이지
    · 저자명 : 유성호

    초록

    일찍이 근대성 논의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해명되고 문제 제기되어왔다. 그 대표적 견해들은 사설시조나 잡가 등을 근대시의 전사(前史) 혹은 맹아 상태로 보려는 시각을 담고 있다. 이는 한결같이 문학사를 일종의 내재적 연속성에서 파악하려는 민족주의적 충동을 담고 있고, 문학사가 고대-중세-근대로 선형적 이월을 했다는 역사관을 반영하고 있다. 그 가장 뚜렷한 사례로 조선후기의 사설시조를 근대시의 동일 연속체로 간주하는 시각이 대두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식은 다분히 심정적 자문화중심주의를 짙게 반영한 것임을 후세대 연구자들이 여러 차례 증명하고 있다. 결국 그동안 근대의 단초를 사설시조에서 찾기 위해 몇몇 오도된 샘플링이 있었고, 그 추인 과정도 잇따랐다는 점이 여러 차례 비판된 것이고, 그러한 담론적 실증성이 놀라우리만치 축적된 것이다. 그리고 근대문학 연구 쪽에서는 더 많은 사례가 축적되어 있다. 최근 연구사는 크게 보아 사설시조 연원설, 개화기 시가양식의 혼재설, 최남선의 신체시의 영향설, 주요한이나 김억의 시에서 비롯하였다는 설 등 네 가지 정도로 근대시 이행기에 대한 판단을 개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근대성 논의는 이제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대개 내용상의 개성 발견 그리고 형식상의 자유시 구현에서 근대성의 징후를 찾아내는 현상 기술적인 단계에서, 그것들이 진정한 근대성의 성취에 값하는 것인지에 대한 인식론적, 미학적 탐색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근대 초기의 시가 그 자체로 ‘개성’과 ‘주체적 판단’을 근거로 하는 근대적 주체의 형성 과정을 잘 보여주지만, 시대 상황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비판적 주체로서의 정립 과정에는 현저하게 미달한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시적 주체들은 과도기적 성격에 머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세적 형식의 탈피라든가, 세계사적 문명에 대한 감수성 그리고 새로운 주체를 형성하려는 근대적 의욕의 진원지로서 이 시기의 문학사적 몫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근대시의 초기 양상은 1920년대를 전후하여 가장 왕성하고도 세련된 동인지 시대를 맞아 근대시의 확연한 착근과 확충의 시기로 이어진다.

    영어초록

    A discussion on modernity has been extensively explained and questioned by researchers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early period. Representative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present a view of considering Saseolsijo or japga as prehistory or sprouting of modern poetry. They contain nationalistic impulse to understand Korean literary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continuity and reflect the view of history that literary history is carried forward lineally from ancient to medieval and to modern times. One of the most distinguishing example of them is to see Saseolsijo of late Choson as the same continuum of modern poetry. However, researchers of later generation proved that this diagram heavily reflected emotional ethno cultural centrism. Up until now, there have been several misdirected sampling of looking for the clue of modernity from Saseolsijo and the process of confirmation was followed by. Recent researches have four theories; originated from Saseolsijo, mixture of various poetic genres of enlightenment period, influence of new style poem by Choe, Nam-seon, originated from Joo, Yo-han or Kim, Ok.
    A discussion on modernity in modern Korean poetry has entered a new phase now. It is moving forward from the stage of describing phenomenon in which researchers look for signs of modernity from individuality of content and realization of modern poetry in form, to the stage of epistemological, aesthetic exploration on whether those signs truly belong to the accomplishment modernity. Poetic subjects of this period remain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eriod in that poems of early modern period clearly express the process in which modern subject is being formed based on ‘individuality’ and ‘independent decision’, however, fall short of the process in which they stand up as a critical subject who looks at the stage of a period generally. Never- theless, breaking from medieval forms, sensitivity on world civilization and source of the will to form a new subject have done important role in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These aspects of early modern poetry is connected to the period of definite settling down and expansion of modern poetry facing most vigorous and refined period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around 192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