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교재에서의 ‘-길래’에 대한 설명 제시 분석 (Analysis of explanation presentation about ‘-길래’ in Korean textbook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7.06
43P 미리보기
한국어 교재에서의 ‘-길래’에 대한 설명 제시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31권 / 317 ~ 359페이지
    · 저자명 : 이지선

    초록

    인과 연결 어미인 ‘-길래’는 통사적인 제약이 많은 까다로운 문법 항목 중의 하나이다.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의 발화에 앞서 그 의미와 문법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한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수단은 역시 교재일 것이다. 따라서 교재가 외국인 학습자들의 ‘-길래’에 대한 이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교재에서 ‘-길래’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피는 것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길래’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나아가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필자는 한국에서 출판한 교재 7종과 중국에서 출판한 교재 4종을 대상으로 ‘-길래’에 대한 설명 제시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 기준은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진 ‘-길래’의 의미와 통사적 제약 및 담화 정보를 모두 제시했는지의 여부였다.
    하지만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길래’를 제시하지 않거나 제시했다 하더라도 제대로 기술하고 있는 교재는 찾아볼 수 없었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길래’를 제시한 대부분의 교재들에서 ‘화자의 행동에 대한 근거’라는 평서문의 ‘-길래’에 한해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길래’에 대한 문법적 난이도와 사용 빈도를 고려한 결과라고 보이지만, 다른 상황에서 나타나는 ‘-길래’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분명하게 지적해야 하는 문제였다.
    또한 평서문의 ‘-길래’를 제시한 교재들 중에서도 그 의미나 통사적 제약 그리고 담화 정보 및 결합 정보를 모두 제시하고 있는 교재는 총 9종의 교재 중에서 『고려』, 『标准』의 2종뿐이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중국 측 교재들에서 문법적 제약에 대한 설명에 있어 오류가 드러났다는 사실이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필자는 학습자들의 ‘-길래’를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길래’가 실현되는 평서문과 의문문의 ‘-길래’ 그리고 추측의 근거로 쓰이는 ‘-길래’를 모두 교재에서 다룰 것을 제안했다. 단 ‘-길래’가 실현되는 세 가지 유형을 동시에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 빈도에 따라 평서문의 ‘-길래’를 먼저 제시하고 다음에 의문문의 ‘-길래’를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서문이지만 추측의 근거로 쓰이는 ‘-길래’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때 그 제시의 기준은 먼저 ‘-길래’의 의미를 설명한 후에 통사적 제약이나 담화적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사적 제약보다 의미를 먼저 제시하는 것은 문법 항목이 가지는 의미를 정확히 숙지한다면 그로 인한 문법적 제약은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causal connective suffix ‘-길래’ is one of the tricky grammar items that have a number of syntactical restrictions. Therefore, foreign learners should properly understand its meaning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before speaking.
    Since textbooks are the basic means of learning Korean, they have a huge influence on how foreign learners understand ‘–길래’.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take a long hard look at how textbooks describe ‘-길래’ because this can help foreign learners understand ‘-길래’ better and enable them to have a good communication.
    So, I analyzed how textbooks describe usage of ‘-길래’ based on 7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4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is analysis was to determine whether these textbooks present all the meaning, syntactical restrictions and discourse information of ‘-길래’ found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ult of analyzing these Korean textbooks showed that most of the textbooks do not present the usage of ‘-길래’ and even when it is presented, it is not properly explained.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most of the textbooks that present the usage of ‘-길래’ describe it only as “a basis of speaker’s action” in a declarative sentence. It seems that these textbooks consider the difficulty level of the grammar. However, the obvious problem was that this can negatively influence on communication among the foreign learners who do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길래’ in other situations.
    Also, among nine textbooks that present the usage of ‘-길래’ in a declarative sentence, only two textbooks from 『고려』 and 『标准』 publishing company present all of the meaning, syntactical restrictions, discourse information and bonding information. Furthermor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xtbooks from China have errors on descriptions of the grammatical restri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ed that all the usages of ‘-길래’ in a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and basis of speculation should be covered in textbook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of foreign leaners. This is not just presenting these three usages at the same time but presenting them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age. It is effective to present a usage of ‘-길래’ in a declarative sentence first and a usage of ‘-길래’ in an interrogative sentence second and a usage of ‘-길래’ for a basis of speculation in a declarative sentence lastly. The criteria of presentation is to describe the meaning of ‘-길래’ first and then explain syntactical restrictions and discourse information. Mastering the meaning of the grammar items first enable foreign learners to understand grammatical restrictions caused by those items. This is the reason why the meaning is presented before syntactical restri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