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THE STUDY ON THE CAREER RECOGNI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7.06
46P 미리보기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13권 / 1호 / 123 ~ 168페이지
    · 저자명 : 윤영란

    초록

    본 연구는 2006년도 S대학교 “여성과 직업개발”을 수강한 174명의 학생 중 “나의 직업 설계, 나의 직업세우기” 보고서를 작성한 155명의 보고서를 개별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연구자가 학생들의 보고서에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자유반응을 작성한 질문형식에 연구자가 답을 적어 다시 분석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진로정체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자기가 누구인지 성격이 어떠한지 자신이 잘하는 것은 무엇인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기가 어떤 일을 할 때 몰입을 하는지 등 자기정체성에 상당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인생의 목표나 미래에 대한 생각들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현실에 충실하고자 대학생활을 성실히 하고 학점을 관리하는 등의 비교적 계획적이지 못한 자세로 입하고 있다. 두 번째, 대학생들은 실제적으로 직업을 선택했더라도 직업에 대한 준비는 상당히 미흡한 편이었다. 직업을 고를 때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미래나 인생목표에 맞추어 직업을 고르기 보다는 졸업 후 당장 취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근시안적인 관점에서 직업을 선택하고 직업에 대한 준비도 막연하게 학점이나 자격증이나 영어 등에 몰두할 뿐 구체적으로 준비를 하고 있지 못하다. 진로선택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인한 의사결정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진로를 선택해야 하는 시점에서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진로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었고 쉽게 정보를 찾으려고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직접 찾아가서 알아보고 경험해보고 하는 일들을 상당히 기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 번째, 대학생들은 직업선택에 부모에게 상당부분 의존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부모의 지시에 따라 학습하는 습관이 몸에 배에서 학습에 대한 계획이나 진로에 대한 계획, 선택 등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서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성항이 나타났다. 네 번째, 대학생들은 진로관련교과목이 진로에 대한 생각이나 막연하게나마 꿈꾸고 있던 것들을 글로 정리해보면서 확실하게 정리할 수 있었던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현재 자신의 전공은 대부분 성적이나 능력에 맞추어서 진학하였고 자신의 전공에 자신의 적성과 잘 맞지 않는 경우에도 새로 전공을 시작하기에는 3,4학년이라는 학년이 상당히 부담감으로 다가오기 때문에 쉽게 전공을 찾아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1.2학년들은 진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있지도 않고 생각하고 싶어 하지는 않았다. 다만 학점관리와 꾸준한 영어공부를 하다보면 진로가 보일 거라는 막연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such as the career recognition, the problems of career research and the limits of career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I looked into 155 student's reports about 'my job plan', 'my career setup' which took 'Woman and Career Developing' course among 174 students at S university in 2006.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I surveyed the general recognition and preparation about 'career', 'career choice', 'career obstacle',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the reports, statistically, I made questionnaires which are very important, I answered them case by case, I reanalyzed all the questionnaires.
    I summarized this study in major factors.
    1) Self-Identity and Career-Identity: University students don't establish self-identity regarding 'who they are', 'what kinds of personality do they have', 'what do they like', 'what kinds of works do they stay focused'.
    2)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Actually, if they choose career, career preparation is not sufficient. they don't choose the career under the long-term view or life-time plan. After graduation, they get career quickly under the short-term perspective, and they only focus on credits, certification, English.
    3) Career Performance 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 As for the career decision, students depend on their parents, they don't likely solve the problems such as 'study plan', 'career plan'.
    4) Curriculum Satisfaction and Major Agreement: It says that much experiences move up their wide network of the career concept, according to their scores and abilities, most of the students choose their majors, even if majors don't fit for them perfectly, they feel so burdened to change their maj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