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학업성적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최초 등록일
- 2022.06.11
- 최종 저작일
- 2022.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연구주제
2. 연구목적
3. 서론
4. 이론적 배경
(1) 행복의 개념
(2)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학업성적
5. 연구설계
(1) 자료 수집 방법
(2) 조사대상
(3) 조사기간
6. 자료 수집 및 해석
7. 결론 도출
본문내용
우리나라 학생들의 지적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2014년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 국제비교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74점으로 2009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OECD 회원국 중에서 6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행복하지 않다고 데에는 무엇보다도 학벌과 학력 중심의 사회문화적 풍토 속에서 명문 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 위주의 공부에 매몰되어 자신의 꿈과 끼를 탐색하고 성찰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한 데에서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 4명 중 1명은 장래 희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학생의 비율이 34.4%로 가장 높았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주당 공부 시간을 보면, 학교수업, 사교육, 개인공부시간을 합쳐 주당 49.43시간으로 OECD 평균인 33.92 시간에 비해 15시간 더 많고, 특히, 중학생들의 하루 평균 학업시간은 8시간 55분으로 핀란드에 비해 4시 33분, 일본에 비해 2시 33분이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나라 학생들은 과도한 학업부담과 학습시간으로 자신의 진로를 고민하고 탐색할 여유를 갖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공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013년부터 꿈과 끼를 실현하는 행복교육을 초・중등 교육분야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인성중심의 수업 강화, 자유학기제, 개인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등의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자유학기제는 중학생들이시험과 입시위주 지식 교육에서 벗어나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발견하고 진로를 탐색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교육 정상화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행복하다고 느끼지 않는 개인적 요인과 학교 요인이 무엇인지가 규명될 필요가 있다.그러나, 그 동안 관련 연구들을 보면, 자아효능감, 학업성취, 사회적 관계 등 학생들의 개인적 요인을 모색하고 있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반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