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Happiness of Children, Happiness Education, and Happy Society)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8
15P 미리보기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교육 / 25권 / 3호 / 59 ~ 73페이지
    · 저자명 : 박병기

    초록

    아이들의 행복에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다. 이 글은 아이들이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고민을 담은 것이다. 이 글의 첫째 목적은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고, 그에 기초해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었다. 둘째 목적은 이런 그림에 비추어 행복교육의 방향을 목적과 내용의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이었다. 셋째 목적은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모습을 행복사회의 관점에서 투시하는 것이었다. 첫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주관적 안녕과 객관적 안녕의 통합으로 파악하였다.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일상에서의 정적 정서와 만족 판단을 포함한다. 객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인간 잠재력의 충분한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나는 ‘행복나무’라는 은유적 그림으로 통합적 관점이 반영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표상하였다. 둘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행복교육의 목적을 ‘평생 행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아이들을 돕는 데’서 찾았다. 행복교육의 가치는 행복의 완벽한 실현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아이들이 행복역량을 갖추어 가는 과정의 지속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행복역량을 행복교육의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행복역량은 행복나무의 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 심리적 특성들이다. 나는 이것을 신념체제, 동기망, 의지조절, 정서균형, 관계지향, 그리고 메타능력을 담은 BeMoVER_Me라는 약어로 나타냈다. 셋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Bronfenbrenner의 사회생태체제 관점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관점을 통합하여 행복사회의 다면적, 역동적 모습을 구상하였다. 행복사회는 각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조화로운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다. 아이들은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가? 그 답은 행복한 아이, 행복교육, 행복사회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영어초록

    There should be few that stands against the happiness of children. This article contains my worries about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would be happy?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nd to figure out a happy child. based on it. The second purpose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appiness education in terms of goals and contents. The third one was to see through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from the angle of happy society. With regard to the first purpose, I grasped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s the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ppiness as subjective well-being pertains to the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ory judgment in the everyday life. That as psychological well-being is focused on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 I represented a happy child by drawing a metaphoric picture of ‘happiness tree.’ In relation to the second purpose, I equalized the goal of happiness education with helping children to acquire the competency to be happy. The significance of happiness educa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ontinuity of children’s forming happiness competency, not by the their perfect realization of happiness. I proposed the happiness competency as the content of happiness education. Happiness competency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ldren to become happy. I coined the acronym word BeMoVER_Me for thes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belief system, motivation network, volition regulation, emotion balance, relation orientation, and meta-capability. With the third purpose, I constructed the multiple, dynamic figure of happy society integrating the perspectives of Bronfenbrenner’s socio-ecological system and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Happy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pursues the happiness of entire society as well as that of each individual.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should be happy? The answer should be found based on the balanced viewpoint about happy child, happiness education, and happy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