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관련 그림책 읽기에 나타난 유아의 반응
*미*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유아교육 교육대학원 논문 대체 사례연구보고서 입니다.본 연구자가 직접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바탕을 작성되었습니다.
공감 관련 그림책을 유아들과 함께 읽고, 나타나는 유아의 공감적 반응을 분석한
질적 연구입니다.
목차
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그림책과 공감교육
2. 그림책 읽기와 유아 반응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환경
3. 공감 관련 그림책 선정
4. 연구 절차
5.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3. 제언
Ⅵ. 참 고 문 헌
Ⅶ. 부 록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공감의 시대』의 저자인 미래학자 Rifkin(2010)은 “인류의 역사를 주도하는 가장 강력한 에너지는 공감이며 인간이 세계를 지배하는 종이 된 것은 뛰어난 공감능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icus)로서의 가치가 부각 되는 공감의 시대가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Ehrlich과 Ornstein(2012)은 현재의 인류를 ‘외줄에 선 인류’라고 표현하며, 외줄에 선 인류가 추락하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 지속 가능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치‧경제‧예술‧교육할 것 없이 사회 전반에 걸쳐 공감의 시대가 도래하였음이 강조되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최적의 방법이 공감적 태도임을 전달하기 위한 컨텐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지성애, 정하나, 2015).
공감능력을 가진 사람은 타인과 진정한 인간관계를 맺음으로써 개인적으로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다(Gordon, 2010). 또한 타인에게 공감을 잘하는 사람은 공동체 내에서 서로 배려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인간애를 나누며, 부적응과 소외, 괴롭힘, 집단 간의 갈등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에 대해 적절하게 반응함으로써, 사회 정의를 실현해나간다(Feshbach, 1978, 김연희, 2015, 재인용). 무엇보다 공감적 관계는 소통과 조화를 지속시키는 힘이 있기 때문에 공감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 연대하고 협력하며 높은 시민정신을 지니게 됨으로써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간다(Howe, 2013).
2019년 7월에 고시된 누리과정(교육부, 2019)에서 미래사회는 자연과 생명을 존중하며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바른 인성을 갖추고, 창조적 사고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람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역량을 반영하여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가 자연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서로 소통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으로 ‘서로 다른 감정, 생각, 행동을 존중한다’를 제시하여 공감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수행되어야 함을 권고하고 있다.
참고 자료
강남희(2010). 유치원에서 매일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강지영(2017). 그림책 표지 탐색활동이 유아의 읽기흥미도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창원(2011). 공감 중심의 문학 감상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은진(1996).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 소집단 그림책 읽기활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강은진, 현은자(1998).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아동학회지, 19(1), 169-182.
교육부, 보건복지부(2019). 2019개정누리과정 해설서. 대한민국, 교육부·보건복지부
구이선(2018).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민균(1997). 유치원 대집단 읽기활동과 자유놀이 시간에서의 이야기책에 대한 접근 관점과 그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18(1), 143-162.
권민정(2019).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양선(1996).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연희(2015). 순환적 공감모형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예연(2002). 교사와 유아의 그림책 함께 읽기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이야기 이해 전략.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지(2019).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아(2019). 그림책에 기초한 감정코칭중심의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섭(2017).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 기반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배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원, 서정숙, 김유정, 남규(2008).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이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9), 71-85.
김주희, 이숙희(2005). 유치원 그림책읽기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관점과 유아반응.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2), 101-125.
나선희(2014). 아동의 그림책 읽기에서의 공감의 양상과 의미.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4, 341-374.
나선희, 현은자(2010).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구성 과정 -자서전적 상호텍스트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1(1), 131-158.
노상경(2016). 한국 창작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만 3세 유아의 반응.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상의, 김명화, 천혜경(2008). 연령별 반복적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5), 115-139.
박선희, 한주희 (2016). 그림책의 재미 요소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 95-122
박성희(2004).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억규(2012). ‘그림책 읽어주기’를 통한 독자의 반응 양상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논문.
박유진(2018). 유아의 그림책 그림텍스트 이해 과정.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은성(2016).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문학적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진희, 권민균(2010). 그림책 장르의 텍스트 구조와 특징에 대한 유아의 이해. 유아교육연구, 30(5), 193-217.
박치범(2015). 문학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찬옥, 황지영(2012). 그림책을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221-244.
백승화(2013). 어린이 그림책에 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변연정(2016). 그림책을 활용한 음운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운인식 및 읽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정숙, 최현주(2014). 그림책 장르별 만 3세 유아의 반응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1-23.
서현, 선현아, 박미자(2014). 그림책을 활용한 마음이해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4(5). 55-84.
서현아, 김소연(2001). 그림책을 통한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연구, 10, 87-107.
송은경, 이성은(2006). 소리내어 읽어주기 활동이 아동의 언어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 10(1), 21-36.
신세니, 조희숙(2012). 유아의 의미구성 과정으로 본 포스트모던 그림책파라텍스트의 기능 연구. 인문학논총, 30, 379-413.
신영숙(2018).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파라텍스트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윤정(2014).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향분(2008). 유아의 정보책 읽기과정에서 나타난 반응의 의미.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심향분(2012). 정보그림책 읽기과정에서 교사의 역할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155-179.
심향분, 성소영(2011). 그림책 읽기 맥락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탐색: 소집단 활동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1), 325-351.
오은순, 전진영(2017). 아이의 여섯 가지 마음이 담긴 그림책 읽어주기.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5(1). 5-30.
오은순, 전진영(2020).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 529-549.
옥양희(2019).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자영(2015).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공감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문홍(2019). 유아 그림책 읽기에 나타난 재미의 교육적 의미.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민아(2020). 나눔반 유아들의 그림책 의미구성 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1051-1077.
윤민아, 이수연(2019). 그림책에 나타난 공감 장면 분석. 유아교육연구, 39(2), 25-53.
이대균, 백경순(2005).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1), 93-113.
이석금, 이진희(2018). 그림책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의 그림 반응 연구: Sipe 반응범주의 확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1), 273-292.
이송은(2013). 유아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이연규(2016).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75-97.
이옥임(2015). 국내 박사학위 논문에 활용된 그림책 분석: 2003년〜2015년을중심으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원영(2000). 성인의 책 읽어주기 유형이 유아의 초기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조은, 조희숙(2015).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01-231.
이지영(2017). 글자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차숙(2012). 그림책 읽기의 의미 구성적 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영유아보육학, 73, 55-80.
이차숙(2015). 그림책 텍스트의 구조와 의미작용 방식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35(4), 149-172.
이혜경, 박성희(2016). 대집단 그림책 감상 활동에서 나타난 3-5세 유아의 연령별 언어반응.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22.
임아름(2017). 그림책의 면지 탐색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내러티브 산출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심, 채미영(2004).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열린유아교육연구, 9(2), 1-19.
장문희(2018).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 교육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정윤(2013). 만3세 유아들의 '그림책 읽기' 의미탐색.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은진(2017).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진영(2021).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나는 유아 반응 탐색.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복희(2008).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이 유아의 문해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명숙(2018). 그림책 텍스트의 글, 그림, 파라텍스트 기능 및 관계 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16(2), 47-71.
조미옥, 유연옥(2018). 타자윤리적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의 도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2), 239-255.
조선희(2012).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나타난 유아의 의미 구성적 반응.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수연(2017).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영희(2000). 유아 언어발달의 사회적 기초. 교육논총, 17, 37-59.
지성애, 정하나(2015).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유아교육연구, 35(3), 101-126.
채종옥(1996).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선경(2016).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새얀(2019). 패러디 그림책 읽기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지선(2018).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현은자, 김세희(2005). 그림책의 이해 1. 파주: 사계절.
황혜영(2017).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 존중감과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Ehrlich, Ornstein(2012). 공감의 진화, 고기탁(역). 서울 : 에이도스. (원서출판 2010)
Gorden, M.(2010). 공감의 뿌리 (문희경, 역). 서울: 샨티. (원서출판 1996)
Howe, D.(2013). 공감의 힘(이진경, 역). 서울: 지식의 숲. (원서출판 2013)
Nodelman, P.(1988). 그림책론: 어린이 그림책의 서사 방법(김상욱 역). 서울: 보림출판사. (원서2011 출판)
Rifkin, J.(2010). 공감의 시대(이경남, 역). 서울: 민음사. (원서출판 2009)
Sipe, L, R.(2008).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유아의 문학적 이해 및 문학교육(서정숙 역). 서울: 창지사. (원서 2011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