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문택, 형법학연구, 박영사, 1983.
·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11.
· 손동권, 형사소송법, 세창출판사, 2010.
· 신동운, 형법총론, 법문사, 2009.
· ―――――,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8.
· 안동준, 형법총론, 현학사, 1998.
·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09.
· 이재상, 신형사소송법(제2판), 박영사, 2008.
·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07.
· 정성근/박광민, 형법총론, 삼지원, 2008.
· 정영일, 형법총론, 박영사, 2010.
· 김선복, 친고죄에 대한 고찰, 형사법연구 제10호, 한국형사법학회, 1998. 12.
· 김성규, 공소제기의 조건으로서의 고소 : 친고죄에 있어서의 고소를 중심으로, 성균관법학 제15권 제1호, 성균관대학교법학연구소, 2003. 6
· 김성돈, 형사절차상 피해자·가해자 조정제도의 도입방안, 피해자연구 제9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2001. 4, 158면.
· 김성천, 형사문제의 대체적 분쟁해결 방안, 중앙법학 제11집 제1호, 중앙법학회, 2009. 4.
· 김정식, 친고죄에 관한 형사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 김태업, 구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6조에 규정된 반의사불벌죄에서 피해 청소년이 처벌불원 여부 등의 의사표시를 하는 데에 법정대리인의 동의 가 필요한지 여부, 대법원판례해설 82호, 법원도서관, 2009. 7.
· 김형석, 공소장변경요부와 반의사불벌죄, 고시연구 제25권 제4호 (통권 제289호),고시연구사(연구), 1998. 4.
· 김형준, 친고죄의 고소와 그 취소, 법학논문집 제24집 제2호, 중앙대학교법학연구소, 2000. 9.
· 문영식, 2009년 형사소송법 중요 판례, 인권과 정의 403호, 대한변호사협회, 2010. 3.
· 박달현. “반의사불벌죄와 고소불가분의 원칙”, 법조 제53권 5호, 2004. 5.
· 심의기, 공소불가의 예외사유로서의 중앙선침범, 반의사불벌죄와 합의서, 고시계 제41권, 고시계사, 1996. 11.
· 윤동호, 피해자의 의사와 형사절차, 피해자학연구 제14권 제1호, 피해자학회, 2006. 4.
· 이규호, 형사소송법상 고소에 관한 소고, 사법행정 제51권 제1호, 한국사법행정학회, 2010. 1.
· 이상철,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 이종갑, 지적재산권 침해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법학연구 제17권 제2호,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12.
· 전광석,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멘토 역량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문 화연구소, 2010.
· 정순영, 청소년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법률안 검토보고서, 정무위원회, 2007. 4.
· 하손숙, 2009년도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