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23)
  • 리포트(23)
EasyAI “본초사변록” 관련 자료
외 16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본초사변록" 검색결과 1-20 / 23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본초사변록 4권 침향.hwp
    卷四沈香본초사변록 4권 침향腎中陽虛之人,水上泛而爲痰涎,火上升而爲喘逆。신의 양허한 사람은 물이 위로 떠서 담연이 되며 불이 상승하여 숨참과 상역이 된다.沈香質堅色黑而沈,故能擧在上之
    리포트 | 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6.09.20
  • 본초사변록 3권 대추 大棗
    大棗대추大棗色赤味甘,爲火土合德,甘中帶辛,其木多刺,則微兼乎金,故能安中潤液而通九竅。대추는 적색에 감미로 화와 토가 덕을 합치며 감미중에 신미를 띠어 나무가 가시가 많으므로 약간 금기를 겸하므로 중초를 편안하게 하며 액을 적셔주고 9구멍을 통하게 한다.通九竅之效,非如細辛, ..
    리포트 | 11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5.09.01
  • 본초사변록 감초 황기
    甘草감초甘草中黃皮赤,確是心, 脾二經之藥,然五臟六腑皆受氣於脾,心爲一身之宰,甘草味至甘,性至平,故能由心脾以及於他臟他腑,無處不到,無邪不祛。감초는 중간은 황색이며 껍질은 적색이니 확실히 심경, 비경 두 경락의 약이며 5장6부가 모두 비에서 기를 받고 심은 한 몸의 주재가 되므로..
    리포트 | 1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2.12.01
  • 본초사변록 3권 烏梅오매 도인
    烏梅오매梅花苞於盛冬, 梅實成於初夏。苞(그령, 밑동 포; ?-총9획; ba?o)오매 매화의 성대한 겨울에 밑동이 생기며 매실은 초여름에 이루어진다.得木氣之全而味酸, 謂爲肝藥, 夫何待言?自不待言 [zi bu dai yan] ①두말할 나위도 없다 ②설명을 하지 않아도 스스로..
    리포트 | 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5.09.01
  • 본초사변록 석고
    卷一石膏鄒氏)云?“石膏體質最重,光明潤澤,乃隨擊?解,紛紛星散,而絲絲縱列,無一縷橫陳),故其性主解橫溢之熱邪.”추주가 말하길 석고는 몸의 바탕이 가장 무겁고 광명이 나며 윤택하며 때림에 따라서 풀어지며 어지러이 별처럼 날리며 실이 세로로 벌려지며 한 가닥도 가로로 펼쳐지는 것..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04.19
  • 본초사변록 3권 연근 계두실 백실 계지
    藕、頭實우 계두실 연근 가시연씨藕始終以生、以長、以穿穴於水中, 而孔竅玲瓏, 絲綸內隱, 故能入心所主之血。藕(연뿌리 우; -총19획; ou)[slun] 임금의 조칙綸:絲이며 絲보다 거친 것이 륜이다.연뿌리는 처으과 끝이 태어나고 기름이 물속 구멍을 뚫으며 구멍은 영롱하며 실..
    리포트 | 39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5.09.05
  • 본초사변록 해백 생강 건강 고호 상이 행인
    卷三본초사변록 3권?白해백 염교藥之辛溫而滑澤者, 惟?白爲然。약이 신미 온기로 윤활하고 윤택함은 오직 해백이 그러하다.最能通胸中之陽與散大腸之結。가장 가슴속의 양을 소통하고 대장
    리포트 | 16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4.12.18
  • 본초사변록 인삼 원문 및 번역
    人參인삼一物而?譽交集者,惟人參爲最。한 약물에 훼방과 명예가 교대로 모임은 오직 인삼이 가장 크다.好補之家多譽,好攻之家多?,其譽者復有補陰補陽之各執,而不知皆非也。보하길 좋아하는 의사는 많이 명예롭게 여기니 공벌을 좋아하는 의사는 많이 훼방하니 명예로운 것은 다시 음을 보하..
    리포트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12.04
  • 본초사변록 사삼 길경 지모
    沙參사삼沙參 “主血積、驚氣、除寒熱。”신농본초경에서는 사삼은 혈적과 경기를 주치하며 한열을 제거한다고 했다.“血積”二字,惟徐氏最爲得解,云“沙參爲肺家氣分中理血之藥,色白體輕,疏通而不燥,潤澤而不滯,血阻於肺者,非此不能?之。”혈적이란 두 글자는 오직 서씨가 가장 이해를 하며 말하..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12.04
  • 본초사변록 4권 구기枸杞 만형자 복령 저령.hwp
    沈?綠之言,分別頗當。이는 심천록의 말로 분별이 의당하다.沈?(풀 무성할 천; ?-총7획; qia?n)綠:청나라 沈金鰲 편찬한 雜病源流犀燭, 傷寒論綱目按陶隱居序,於地骨皮下列“熱中消渴 ... ”字,治虛勞客熱、虛勞苦渴,皆用地骨皮。도은거의 신농본초경서를 살펴보면 지골피 아래에 열중의 소갈을 주치한다고 하며 천금방에서는 허로객열, 허로로 갈증에 고생함을 치료한다고 함은 모두
    리포트 | 13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6.09.20
  • 본초사변록 적석지 초석 망초
    赤石脂적석지石脂揭兩石中取之。적적시는 두가지 석지 중에서 취한다.鄒氏云?“兩石必同根?出而相?,脂者粘合兩石之膠,故所治皆同本異趨而不相浹)之病,得此乃彙於一處,專力以化之。”추주가 말하길 양쪽 석지는 반드시 뿌리가 같고 가지가 나와서 서로 아우르니 지란 점착하여 합쳐서 양쪽 석지..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11.30
  • 본초사변록 3권 모과木瓜 비파엽 촉초 오수유
    木瓜모과木瓜味酸氣溫而質津潤, 皮始而終黃, 肉先白而後赤, 爲肺, 胃, 肝, 脾, 血分之藥。모과는 산미, 온기로 바탕이 진액이 있고 윤택하며 껍질이 처음 청색이다가 마지막으로 황색이 되며 살은 먼저 백색이다가 뒤에 적색이 되니 폐, 위, 간, 비, 혈분의 약이 된다.津潤之..
    리포트 | 10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5.09.03
  • 본초사변록 4권 능리갑 천산갑 오적골 구갑 별갑 모려 문합
    ?鯉甲 (卽穿山甲)능리갑은 곧 천산갑이다.穿山甲“主五邪驚啼, 悲傷”。五邪:(1) 오장병사(五臟病邪)의 합칭. (2) 중풍(中風), 상서(傷暑), 음식노권(飮食勞倦), 상한(傷寒), 중습(中濕)의 다섯 가지 병인(病因). (3) 허사(虛邪), 실사(實邪), 적사(賊邪),..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09.20
  • 본초사변록 4권 연실 조협 조협자 가려륵 ᅟ상백피 저실 지실.hwp
    의南唐惟謂壯筋骨,則似是實非,不免於誤人爾。오직 대명본초에는 저실이 근골을 건장하게 한다고 하나 옳은 듯하나 실제 그르니 타인을 그르침을 면하지 못했다.枳實지실枳實“破結實,消脹滿”。명 ... 한 창만도 또 맡을수 있다.故於胸脅曰除痰癖,不曰除痰?。痰癖:水飮이 오래 정체되어 담으로 되어 옆구리에 흘러가 수시로 통증을 야기하는 병증그래서 명의밸록에 지실이 가슴과 옆구리의 담벽을 제적이다.
    리포트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09.20
  • 본초사변록 4권 枳殼지각 치자 산조인 산수유 여정실 위모 오가피
    ?ngneng]재능을 겨루다피부속에 풍을 제거하고 마비를 제거하는데 지실을 사용하면 쉽게 속으로 달리니 지각과 능력을 다투기 어렵다.此枳殼所以主風?麻?也。이는 증류본초에서 지각이 그래서 풍
    리포트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09.20
  • 본초사변록 4권 죽여 봉밀벌꿀 백강잠 수질거머리 제조 굼벵이 용골 용치
    竹茹죽여竹?而中空,與膽爲?淨之府,無出無入相似。대나무는 청색이며 중간이 비고 담은 청정한 부로 출입이 없는 듯하다.竹茹甘而微寒,又與膽喜溫和相宜。죽여는 감미로 약간 차며 또 담은 온화한 의당함을 좋아한다.故黃芩爲少陽經熱之藥,竹茹爲少陽腑熱之藥。그래서 황금은 소양경 열을 치는..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09.20
  • 본초사변록 서각코뿔소뿔 양두첨쥐똥 난발머리카락 인뇨소변
    犀角서각犀角一物,或謂胃藥,或謂心藥,或謂性升,或謂性降,或謂取汗最捷,或謂治血與經旨不合。서각의 한 약물은 혹은 위를 치료하는 약이라고 하며 심을 치료하는 약이라고 하며 혹자는 약성이 상승한다고 하며 혹자는 약성이 하강한다고 하며 혹자는 땀을 냄애 가장 민첩하다고 하며 혹은 ..
    리포트 | 12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6.09.20
  • 본초사변록 백출白朮 황련 황금 시호 백선피 용담 작약 목단피
    白朮백출鄒氏云?“脾主升擧?陽,胃主通降濁陰,皆屬土而畏濕。朮開花於初夏,結實於伏時,偏於濕熱彌漫之際,顯其有猷有爲,確知其入脾胃,能力固中氣,外禦濕侮矣。”추윤안이 말하길 “비는 주로 맑은 양을 상승해 들고 위는 주로 탁한 음을 소통하고 하강하므로 모두 토에 속하며 습을 싫어한다. ..
    리포트 | 25페이지 | 8,000원 | 등록일 2014.08.18
  • 본초사변록 2권 목향 보골지 강황 울금 형개 박하 청호 하고초 루로
    卷二본초사변록 2권木香목향用木香者多取其調氣,顧其氣味辛溫而厚,不無重濁之嫌,粘牙而苦,亦少宣泄之力,故必陰中伏陽之證,如本經所謂毒疫溫鬼者,最爲相宜。粘牙 [zh?n ya]:1) 말하기 거북 ... ; y 허약하여 생기는 음한(陰寒), 음위(陰?), 이급(裏急), 정루(精漏), 정소(精少), 정청(精淸), 소변삭(小便數) 등 7가지 증상을 일컫는다.개보본초를 살펴보면 보골지 ... 의謂治風熱,究將何從?박하는 당본초에서는 적풍과 상한으로 발한함을 치료하며 식성본초는 박하는 음양독의 상한두통을 치료한다고 하니, 소송과 왕호고도 또한 풍한을 치료한다고 하니 이 밖
    리포트 | 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4.08.21
  • 본초사변록 4권 계시백 계자백 계자황 저담즙 저부 양육 아교.hwp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矢白、?子白、?子黃백색 닭똥, 계란 흰자, 계란 노른자?矢白:?矢白?家??便上的白色部分?屬酉金,又爲巽木,具金木之氣,本有伐土之長。닭은 서쪽 금에 속하고 또한 손목이며 금목의 기를 갖추어 본래 토를 정벌하는 장점이 있다.用其水穀所化之矢白,則尤能化滯消積,領濁下趨。수곡의 변..
    리포트 | 10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6.09.20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