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97)
  • 리포트(78)
  • 논문(14)
  • 방송통신대(3)
  • 시험자료(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不相離" 검색결과 21-40 / 97건

  • 실학담론의 재구성과 양득중의 실사구시론 (Reconstruction of Silhak Discourse and Yang Deuk-joong's Proposal of ‘Silsagusi’)
    한국실학학회 김태희
    논문 | 3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1 | 수정일 2025.06.05
  • 퇴율의 묘합적 사유 (Toe-Yul’s Myohap(妙合) Thought)
    영남퇴계학연구원 김동희
    논문 | 37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02 | 수정일 2025.05.1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퇴계가 강조한 ‘이(理)’철학의 개념을 사단칠정논쟁을 통해 정리해보고, 성리학에서 말하는 이(理)가 과연 무엇을
    이 가능하다면 이와 기는 따로 떨어져 존재할 수 없다는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 원칙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대승의 주장에 이황은 사단과 칠정을 나눌 수 없다는 것에 동의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07.20 | 수정일 2020.07.21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성균관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렌즈에세이/ 설명적 글쓰기> 건축과정으로 본 이기론과 사단칠정론
    의 원리로서 물리적인 현상인 기(氣)보다 앞서 위치하여 그를 지배한다. 나아가 주자의 성리학에 따르면, 이(理)와 기(氣)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의 관계에 있 ... 에 있는 것과 같다.지배불상리(不相離), 불상잡(不相離)이(理)설계도기(氣)건축재료이(理)설계도기(氣)건축재료사단(四端)건축물의 완벽한 부분칠정(七情)건축물의 완벽/불량한 부분이황 ... 과 이이는 같은 성리학자로서 기본적으로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와 ‘이기불상잡(理氣不相雜)’을 모두 인정하지만 어느 측면을 더 강조하는가에 따라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과 ‘기발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7.04.04
  • 윤리 리포트 (이황-이이)
    은 없고, 기(氣) 없이 있을 수 있는 것도 없다. 이것이 불상리불상잡(不相離不相雜)의 관계이다.이러한 이(理)와 기(氣)를 인간에 적용하면 성(性)과 정(情)이 되는데, 이황 ... 이 없는 것처럼 이(理)와 기(氣)는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는 불상리(不相離)를 중시한 것이며, 이(理)와 기(氣)를 하나로 본 것으로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이 ... 發) 칠정은 기가 발동한 것(七情氣之發)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성리학에서 이(理)와 기(氣)는 불상리불상잡(不相離不相雜)의 관계를 가진다. 이것을 근거로 기대승이 문제를 제기한 것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06.19
  • '동양인성이론' 시험정리
    ,形而下者->形體=理氣不相離, 理氣不相雜,理一分殊(보편, 특수성)天地는 理와 氣의 결합으로 이루어져있고 고유한 역할이 있다. 理는 사물의 표준으로서 순선하나 形而上者로서 작위력이 없 ... 發者는 氣이고, 所發者는 理이다. 理의 能動性을 부정하고 理는 形而上者이므로 無形無爲할 따름이라는 것이다. 理氣之妙란 理氣 不相離 不相雜(아무리 기가 탁해도 본성은 탁하지 않다하
    시험자료 | 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5.06.28 | 수정일 2018.01.14
  • 의종금감 산보명의방론 건강부자탕 부자탕 사역탕 통맥사역탕 백통탕 백통가저담즙탕 진무탕 한문 및 한글번역
    게 된다.薑, 附者, 陽中陽也, 生用則力更銳, 不加甘草則勢更猛, 是方比四逆爲峻, 救其相離, 故當急也.건강과 부자는 양중의 양으로 생으로 쓰면 힘이 더욱 예리하고 감초를 더하지 않 ... 177. 乾薑附子湯건강부자탕下後復發汗, 晝日煩躁不得眠, 夜而安靜, 不嘔不渴, 無表證, 脈沈微, 身無大熱者, 乾薑附子湯主之.건강부자탕은 사하한 뒤에 다시 발열하고 낮에는 번조 ... ?四逆湯복령사역탕傷寒厥而心下悸, 發汗, 若下之, 病仍不解, 煩躁者, 茯?四逆湯主之.상한병 궐로 심하가 동계하며 발한하면 만약 사하하면 병이 아직 풀리지 않고 번조하면 복령사역탕
    리포트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11.05
  • 훈민정음창제의미 최만리 반대상소
    比擬中華今別作諺文 捨中國而自 同於夷狄 是所謂棄蘇合之香而取 螂之丸也 豈非文明之大累哉三, 新羅薛聰吏讀 雖爲鄙俚 然皆借中國通行之字 施於語助 與文字元不相離故雖至胥吏僕隷之徒 必欲習之 先讀數 ... , 我朝自祖宗以來 至誠事大 一遵華制 今當同文同軌之時 創作諺文 有駭觀聽 曰 諺文皆本古字 非新字也則字形雖倣古之篆文 用音合字 盡反於古 實無所據 若流中國 或有非議之者 豈不有愧於事大慕華二, 自古 ... 書 粗知文字然後乃用吏讀 用吏讀字 須憑文字 乃能達意 故因吏讀而知文字者頗多亦興學之一助也 若我國元不知文字 結繩之世 則姑借諺文 以資一時之用猶何 而執正議者必曰與其行諺文以姑息 不若寧遲緩而習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6.06.28 | 수정일 2018.10.02
  • 소악부 감상
    은 씻지 못해黃雀何方來去飛一年農事不曾知鰥翁獨自耕耘了耗盡田中禾黍爲(沙里花)얄미운 참새떼 날아가고 날아오네한 해 농사 다 짓도록 놀기만 하더니홀아비 늙은이 애써 지은곡식 모조리 다 까먹 ... 았네그 닭이 꼬끼오 울 때까지어머님 길이길이 사시옵소서縱然巖石落珠璣纓樓固應無斷時與郎千載相離別一點丹心何改移(西京, 丹心)바위에 구슬 떨어뜨려도구슬 끈이야 끊어지겠는가천년동안 임 ... 과 이별해 산다 한들임 향한 단심이야 변함 있겠는가億君無日不霑衣政似春山蜀子規爲是爲非人莫問只應殘月曉星知(鄭瓜亭)임그리워 날마다 눈물 젖으니이 마음 봄 산의 접동새 같네옳거니 그르거니는 묻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6.10.17
  • 유교와 성리학을 통해 이황과 이이의 주리론과 주기론을 기초로 한 선비정신에 관한 고찰
    )이다. 또한 이(理)와 기(氣)는 붙어있어야 함으로 둘의 존재의 의미가 나타난다고 생각되기에 현실에서 나타나기 위해서는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 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두 번 ... 인 이(理),와 기(氣)를 살펴보게 되면 원리상으로 이(理)는 기(氣)가 될 수 없고 기(氣)는 이(理)가 될 수 없다. 즉 이(理)와 기(氣)는 섞이지 않는 이기불상잡(理氣不相雜
    리포트 | 10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6.10.24
  • [조선성리학]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사칠리기논변, 사단칠정논쟁
    와 기는 상호 대립적인 관계인 不相雜과 상호 의존적인 관계인 不相離를 동시에 유지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원리인 理는 無作爲이고, 재료인 氣는 作爲의 것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이기 ... 性은 善이나 情에는 善惡이 있다. 사단은 이에서 발하여 선하지 않음이 없고 칠정은 기에서 발하여 선악이 있다고 하면, 이과 기가 兩物이 되어 「理氣不相離」의 원칙에 어긋난다 ... . 칠정의 발에도 천명이 본연에 근거하는 선함이 있고 악은 기의 過不及에 기인하므로 사단칠정은 두가지 뜻이 아니다.2) 문제제기에 대한 퇴계의 답변가) 사단과 칠정은 모두 情이나 그 말
    리포트 | 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5.05.06
  •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성리학
    는 퇴계 이황과 그 문인?후학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학파이다. 먼저 이황 학문의 특징을 보면, 그의 이기?심성론은 기본적으로 불상잡(不相雜)과 불상리(不相離)로 체계화 된 주희의 이기 ... 음’(理氣不相離)을 강조하면서, 리의 근원성과 기의 현상적 조건의 차이에 따라 ‘리와 기가 혼동될 수 없다’(理氣不相雜)라고 하였다.)퇴계학파는 이황이 세상을 떠난 뒤 병파(屛派 ... (栗谷學派)이이는 주희의 학문 체계를 존중하였다. 그는 이?기를 불상잡(不相雜)과 불상리(不相離)의 관계로 보고, 무형무위(無形無爲)하면서 유형유위(有形有爲)한 것의 주(主)인 것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2.02
  • 화서학파의 사상중심 정리본
    며 순리해야 하는 도리가 명덕明德(마음임)이다. 따라서 심은 인간이 ‘순리’의 삶을 살도록 주재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그는 주희의 ‘리기불상리理氣不相離’, ‘리기불상잡理氣不相雜
    리포트 | 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5.10.09
  • 동유기 9 10 11 12회
    았다.長房心欲求道, 乃以家人不忍相離爲憂。장방심욕구도 내이가인불인상리위우비장방의 마음이 도를 구하려고 하니 하인[가족]들과 마차 떨어지지 못함이 근심스러웠다.翁知其意, 乃折一竹, 度 ... 과 같다.朕膺 天命, 撫有大秦。萬幾朝夕乾乾, 民晨昏切切, 深幸民安如堵, 災禍不生;짐응천명 무유대진 만기조석건건 민막신혼절절 심행민안여도 재화불생如堵 [rud]:담장을 두른 것 같다膺 ... 이 생기지 않았다.不意變起蕭牆, 患生宮掖。불의변기소장 환생궁액蕭牆之變: 밖에서 남이 들어와 일으킨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일어난 변란 =蕭牆之亂, 蕭牆之憂뜻하지 않게 변고가 내분
    리포트 | 13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13.11.29
  • 상리형진 4권하층 눈 감찰관 眼爲監察官捷徑 한문 한글번역
    은 신이 서식하는 궁궐이다.觀眼之?濁, 可以見人之善惡.관안지청탁 가이견인지선악눈의 맑고 탁함을 보면 사람의 좋고 나쁨을 볼 수 있다.眼要神藏不露, 黑白分明, 瞳人端正, 光彩射人, 乃 ... 이 완성된다.故欲長而深, 光潤者必貴.고욕장이심 광윤자필귀그래서 눈은 길고 깊으며 광채가 윤택하면 반드시 귀하다.黑如點漆者聰慧也, 含神不露, 灼然有光者富貴.흑여점칠자총혜야 함신불로 작 ... 보면 귀하다.赤絲貫睛者惡死.적사관정자악사적색 실이 눈동자를 관통하면 나쁘게 죽는다.視定不怯者其神壯.시정불겁자기신장눈으로 고정해 봄에 겁내지 않으면 정신이 건장하다.羊眼厄孤而?.양안
    리포트 | 17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13.10.15
  • 수당양조지전 第五十回 郭孝恪謀退北虜
    報德。”孝恪與撻里忽別, 撻里忽執手垂淚, 不忍相離。撻里忽歎曰:“某居夷地, 將謂吾主乃當世之英雄, 天府之國。今觀見中國人物, 實衣冠繁華之所。吾欲棄夷歸夏, 恨未有計, 力不及耳。”孝恪曰:“元帥 ... 많지만 눈앞에 한 용감한 사람도 어찌 없습니다.”言未盡, 只見階下一人應聲出曰:“大王何待臣下之薄也?臣雖不才, 願統一軍替大王出力, 助唐爲用。若北突厥可汗自至, 臣必生擒之;若不自至, 臣 ... 必殺北兵大半。臣今令北兵不敢犯規吾西與唐矣。如不應其言, 甘滅九族。”언미필 지견폐하일인응성출왈 대왕하대신하지박야 신수부재 원통일군체대왕출력 조당위용 약북돌궐가한자지 신필생금지 약불자지
    리포트 | 5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13.08.02
  • 한국철학사 12편 조선 중기 성리학설 - 3장(이황), 4장( 이이) 요약
    敬이 아닐 수 있게 된다.”)㉡ 理 · 氣의 不相離에서 敬과 義는 卽해야 함을 생각할 수 있음⑥ 理優立觀 은 敬의 중요성을 마침내 강조, 이미 일찍부터 心經을 愼誦하게 된) 苗脈 ... 게 되어 理氣不離가 아니라 理氣분열의 결과 가 된다 - 분열의 결과는 신앙 아니면 과학적인 物理에 偏立하게 될 것敬과 義① 物理 · 事理 · 心理 · 性理 · 天理 등의 理는 진리 ... - 靜을 중시, 周子 자신이 이라고 自註해서 無慾으로 靜의 달성 방안을 제시㉤ 程子 ?遺書?(권 15) : “敬則自虛靜, 不可把虛靜喚做敬.” - 敬함으로써 虛靜이 이루어지므로 主敬
    리포트 | 2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2.18 | 수정일 2020.04.19
  • 상한류방 계지탕류 桂枝湯類
    게 하여 한 되를 복용한다.服已, 須臾, ?)熱稀粥一升餘, 以助藥力。복용을 마치고 잠시후에 뜨거운 맑은 죽 1되정도를 마셔 약의 힘을 돕는다.(桂枝本不能發汗, 故須助以熱粥。《內經》云 ... ?“穀入於胃, 以傳於肺”。肺至皮毛, 汗所從出, 粥充胃氣以達於肺也。觀此可知傷寒不禁食矣。)계지는 본래 발한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뜨거운 죽으로써 도와야 하다. 황제내경에서 말하길 “곡기 ... , 令一時許, 遍身??)微似有汗者益佳, 不可令如水流?), 病必不除.따뜻하게 덮어서 2시간정도 하여 온 몸이 땀이 줄줄 약한 흐르게 함이 더욱 좋으니 물이 흐르듯하면 안되니 병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10.07
  • 기대승과의 담론을 통한 퇴계의 사단칠정론
    에는 떨어지지 못하는 관계에 있는 만큼, 理와 氣를 따로 떼어 각기 사단과 칠정에 분속시켜 이해하는 것은 무리다. (理氣不相離의 원칙에 위배)② 四端之發 純理 故無不善 七情之發 兼善 故 ... 하여, 인성을 ‘理發=四端=道心=善’, ‘氣發=七情=人心=惡’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즉, 이와 기는 서로 섞이지 않음(理氣不相雜)을 강조하는 이기 이원론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 ... 다.” (四端之發 純理 故無不善 七情之發 兼善 故有善惡)로 자신의 명제를 수정하였다. 칠정의 發이 氣를 겸한다고 하여, 칠정과 理와의 관계도 고려하였으나, 기본적으로 사단은 純理이고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1.15
  • 드러난 세상 감추어진세사 - 성리학의 이기론
    할 수 있다 . 따라서 기는 이에 비해 천 ( 賤 ) 하다 고 규정한다 .5 1.2 이와 기의 상호의존성 5 이와 기의 상호 역할 관계를 이기불상리 ( 理氣不相離 )· 이기불상잡 ... ( 理氣不相雜 ) 의 관계 혹은 이이일 ( 二而一 )· 일이이 ( 一而二 ) 의 관계라고 한다 . ‘ 이 · 기가 서로 떠나 있지 않다 .’ 는 현상적 사물의 특성이며 현상적 사물
    리포트 | 2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3.02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