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옥 등(1993), "새우젓 첨가수준에 따른 김치의 저장 중 특성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p.45.
· 김영명 등(1990), "한국의 젓갈·그 원료와 제품", 한국식품개발 연구원, 제4집.
· 김영명(1990), "한국의 젓갈", 한국식품개발연구원 기술신서 제4집, p.39.
· 김천호(1991), "한일양국의 전통식품에 대한 식품학적 비교 고찰", 한국식문화학회지, p.60.
· 서 경(1977), "고려도경(국역)", 민족문화추진위원회, pp.139∼140.
· 윤서석(1990), "한국 식품사 연구", p.187.
· 이기열(1986), "한국전통 음식의 영양학적 조명", 한국영양학회지, p.15.
· 이서래(1986),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324.
· 이성우(1992), "고대 한국 식생활사 연구", 향문사, pp.422∼423.
· 이성우(1992),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p.140.
· 이철호 등(1999),"한국의 수산 발효식품", 유림문화사, p.10.
· 이헌창(1994), "조선후기 충청도지방의 장시망과 그 변동", 경제사학, p.18.
· 장지현(1970), "한국 고농서중의 장류 제조 사료", 한국식품과학회지, p.56.
· 장지현(1989), "한국 전래 발효식품사 연구", 수학사, p.313.
· 정승호 등(1977), "굴젓의 향미성분", 한국영양학회지, pp.19∼20.
· 도순덕 등(1993), "지역별 젓갈의 종류와 이용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pp.24∼29.
· 도순덕(1993), "우리나라 젓갈의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p.68.
· 서혜경(1987), "우리나라 젓갈의 지역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논문, pp.23∼24.
· 오윤석(2003), "전통 한국음식 중 발효식품(젓갈류)에 대한 영양학적 고찰" 논문집 p.1.
· 윤혜정(1973), "한국산 젓갈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 연구원 논총, p.41.
· 이미영(1988), "문헌에 기록된 젓갈의 분석적 고찰" ,한양대 대학원논문.
· 이순옥(1993), "우리나라 김치의 종류와 제조 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25.
· 이응호 등(1996), "토하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pp.22∼24.
· 이응호(1988), "한국 전통 발효식품 연구의 현황과 전망", 논문집 pp.12∼13.
· 이응호(1995), "젓갈의 식품학적 특징 및 제조기술 동향", 한국조리과학회, 춘계학술심포지움.
· 장지현(1976), "한국 전래 해류식품 제조사", 성심여자대학교 논문집, p.17, pp.170∼183.
· 전경수(1997), "진도 하사미의 의례생활", 인류학 논집, pp.3∼6.
· 최상희(1977), "저염 오징어젓갈의 제조 방법 및 향미성분", 한국영양식량학회지, p.23.
· 하진환 등(1986),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p.312.
· 한경선·윤서석(1992), "사회변동에 따른 한국고요의 발효식품 관리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 조리과학학회지, pp.29∼30.
· 한상권(1981), "18세기말 19세기 초 시장발달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사론, p.7.
· 허필숙 등(1982), "영남지방의 제래에 관한 조사연구" 과학논문집, pp.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