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경신 外,「고등학교 문학」,금성출판사, 2002
· ·김대행 外,「고등학교 문학」,교학사, 2003
· ·김윤식 外,「고등학교 문학」,디딤돌, 2002
· ·오세영 外,「고등학교 문학」,대한교과서, 2003
· ·김창원 外,「고등학교 문학」,민중서림, 2002
· ·강황구 外,「고등학교 문학」,상문연구사, 2002
· ·조남현 外,「고등학교 문학」,중앙교육, 2002
· ·홍신선 外,「고등학교 문학」,천재교육, 2002
· ·최웅 外,「고등학교 문학」,청문각, 2003
· ·김상태 外,「고등학교 문학」,도서출판 태성, 2003
· ·박호영 外,「고등학교 문학」,형설출판사, 2003
· ·김병국 外,「고등학교 문학」,한국교육미디어, 2002
· ·교육 인적 자원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2001
· ·조동일,「한국 문학의 양상과 미적 범주」,『한국 문학 이해의 길잡이』, 집문당, 1996
· ·권호현,「수용미학적 인식과 문학텍스트의 구체적 모델」,『독어교육』7집, 1989
· ·김성구 · 윤여복 옮김, 린다 허천, 『패로디 이론』, 문예 출판사, 1999
· ·조윤제,『韓國文學史』, 탐구당, 1999
· ·양주동,『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47
· ·최동원,「고려사요의 향유계층과 그 성격」,『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3
· ·김대행,「고려가요의 율격」,『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3
· ·박노준,『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 ·구인환 外,『문학연구론』, 삼지원, 2001
· ·염은열,「고전 표현의 세계와 표현교육」,『고전문학과 표현교육론』, 역락, 2000
· ·이상익,「西京別曲의 합성가요적 특성」,『古典文學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집문당, 1994
· ·박노준,「서경별곡과 이별 민요의 양성과 정서」,『고전시가 엮어 읽기』,태학사, 2003
· ·김대행,『문학교육 틀짜기』, 역락, 2000
· ·이상섭,『문학용어비평사전』, 민음사, 2001
· ·박노준,『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0
· ·허남춘,「고전시가 교육의 방향과 과제」,『백록어문』, 백록어문학회, 2001
· ·박노준,『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 ·문학과 문학교육연구소,『문학 교육의 인식과 실천』,국학자료원, 2000
· ·차호일,『(현장중심의) 문학교육론』, 푸른사상,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