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 마르지 않는 콘텐츠 화수분 - 국문학개론 보고서 (국어교육과)
- 최초 등록일
- 2018.06.15
- 최종 저작일
- 2010.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800원

판매자과일조아 (본인인증회원)
3회 판매

소개글
처용가를 주제로 한 국문학개론 학기말 보고서로, 명문대에서 A+ 받은 질 높은 자료입니다.
제목은 마르지 않는 콘텐츠 화수분, <처용가>입니다.
국어교육과, 국어국문학과(국문학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향가 <처용가>에 대한 이해
Ⅲ. <처용가>의 교육 양상 및 교육 방향
1. 교육 양상
2. 교육 방향
Ⅳ. <처용가> 새롭게 보기
Ⅴ. <처용가>의 수용 및 변용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국민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시를 뽑는다면 김소월의 <진달래꽃>이겠지만, 그것이 우리와 시간적으로 가깝다는 장점이 작용된 결과라고 하면, 아마 오랜 시간이 흘러도 가장 사랑받는 시가로는 역시 <처용가>가 우선이지 않을까 한다. 신라 향가들 중에서 유독 이 노래만이 고려 시대를 지나 조선 시대까지 살아남았을 뿐만 아니라, 노래로, 춤으로, 연희로 계속 확장되었고, 민중의 사랑뿐 아니라 귀족들의 사랑까지 받았던 점, 수많은 문학작품으로 전승∙변용되었고, 다른 문화 영역에도 ‘처용’의 모티브가 수용되고 있는 점 등을 생각할 때, <처용가>는 충분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7차 교과서의 경우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18종 중 단 4곳에서만 <처용가>를 수록하였다. 이를 같은 향가 작품인 <제망매가>가 16곳에 수록된 것과 비교해 볼 때, <처용가>가 얼마나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한국문학의 범주에 있어서도 <처용가>는 그 가치에 비해 상당히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향가와 <처용가>에 대해 살펴본 후, <처용가>에 대해 공교육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분석함과 더불어 바람직한 교육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또한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 <처용가>를 새롭게 해석해 보고, <처용가>의 수용 및 변용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처용가>에 나타난 특징들을 통해서 한국문학의 특성을 재규정해보고자 한다.
Ⅱ. 향가 <처용가>에 대한 이해
신라 <처용가>의 시적 갈래는 향가이다. 향가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적는 향찰 표기에 의해 기록되어 전하는 신라 및 고려시대의 시가를 말한다.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로 크게 4구체, 8구체, 10구체 세 가지의 형식으로 나누어진다. 4구체에서 10구체로의 발달은 향가가 공동의 노래에 기초한 민요적 성격에서 출발하여 점차 심화된 개인의 서정을 담는 정서의 확장을 이룩해 나갔던 데에 기인한다.
참고 자료
권오성 외(2008), 『고전시가의 모든 것』, 꿈을 담는 틀.
권현주(2005), 『<처용가>의 시적흐름과 지도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오지원(2007), 『처용설화의 현대적 변용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서병기(2010. 7. 31), 『현대판 처용가?…DJ DOC 인기몰이』, 헤럴드경제
허혜정(2008), 『처용가와 현대의 문화산업』, 글누림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07&docId=58017348&qb=7IiY7Jqp6rO8IOywveyekQ==&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eZR8loi5UssssYgnZssss--385259&sid=TRDNcPPAEE0AAB0cGdM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107888.html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0512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