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론
- 최초 등록일
- 2022.08.15
- 최종 저작일
- 2022.08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보육교사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좋은 보육교사의 특성
1) 태동의 배경
2) 좋은 보육교사의 조건
2. 좋은 보육교사로서 보완할 나의 모습
3. 카츠(Katz)의 관심사 발달 단계에 따른 보육교사로서의 계획
본문내용
Topic 보육교사로서 준비하기
1. 좋은 보육교사의 특성
1.1 태동의 배경
지난 2018년 한국보육진흥원은 하나의 서책을 출간하였다. ‘우리 아이를 위한 좋은 교사, 좋은 부모되기’자료다. 한창 보육교사로서 미래를 품었을 때 만났던 자료로 여기에 기대어 이번 장을 서술하려 한다. 막연하게나마 보육교사라는 직업군을 알게 되었을 때 사회적 배경에 대해서도 어렴풋하게 아는 수준이었다. 그러다 책을 통해 사회적 의식을 명확히 하였고, 이는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같은 사회 구조의 변화 속에서 ‘좋은 보육교사’에 대한 수요는 절박하리만큼 크다는 점이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전인적 성장발달을 돕는 직업이다. 보육전문가로서의 지식과 기술, 마인드와 태도를 갖춘 사람이 종사하며, 이에 따른 교육 시설 또한 특성화된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이 같은 보육교사에 대한 개념과 교육 환경의 변화는 과거 보육교사를 바로보던 전통적 시각의 대전환이기도 하다. 과거 보육교사는 알음알음 소개 형태로 ‘보육 종사자’가 되거나 하는 비전문가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대중의 인식 발달과 워킹맘의 증가, 핵가족화는 ‘좋은 보육교사’의 수요로 급격히 이어졌고, 수많은 시행착오와 서로간의 경험을 통해 ‘좋은 보육교사’의 요건들이 태동하기 시작했다.
1.2 좋은 보육교사의 조건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교육활동을 계획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 자료
안지영 교수, 13주차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고려 사이버대학교
신혜란(2017), 좋은 교사에 대한 영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와 보육교사의 인식, 중앙대 유아교육학과 석사 논문
한국보육진흥원(2018), 우리 아이를 위한 좋은 교사, 좋은 부모 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