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항목별로 비교·대조하여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04.29
- 최종 저작일
- 2020.04
- 2페이지/
MS 워드
- 가격 500원

판매자Henlo (본인인증회원)
4회 판매

목차
1.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TTT(과제Task-설명Teach-과제Task) 교수법
2.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PPP(제시Presentation-연습Practice-생산Production) 교수법
3.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의 차이점 비교 대조 및 설명
본문내용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TTT(과제Task-설명Teach-과제Task) 교수법
위 모형은 과제(task)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의사소통 과제를 수행하면서 유창성을 익힌 후 문법을 배우고 다시 유사한 다른 과제를 수행하게 하는 교수 모형이다. 이 모형은 과제 수행을 통해 문법을 배운다는 점에서 귀납적 접근 방법을 취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과제 전 : 과제 부여, 과제 죾비 -> 과제 수행 -> 발표 평가, 정리, 과제 부과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PPP(제시Presentation-연습Practice-생산Production) 교수법
위 모형은 문법 규칙을 제시하고 반복 연습하여 바른 언어 자료를 산출하도록 하느 sahgud으로 전통적 교사 중심의 학습을 대표하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이 모형은 언어는 조금씩 단계적으로 학습되며 유창성은 정확성으로부터 발달한다고 가정한다.
문법 지식 발달 -> 습득한 규칙 자동화 -> 의미, 상황에 따른 표현(다양한 활동)
참고 자료
한국어 교육에서 인지적 문법 교수 학습의 의의와 한계 – 신명선 저
한국어 문법 교수 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 구어교육학연수 18.- 강현화(2006)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체제 개선 방안. 이중언어학 17 - 원진숙(2000)
교재 구성에 있어서 과제(tasK) 개념의 적용에 관하여.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최정순(1996)
진흥평생교육원_한국어교원_외국어로서의 국어 표현 교육론 수업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