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하여 자기 자신 나름대로의 교육공학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교육공학의 다섯 가지 주요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 다음, 각각의 영역(다섯 가지 영역 각각)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5.10.09
- 최종 저작일
- 2015.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
2. 본인 나름대로의 교육공학에 대한 정의
3. 교육공학의 다섯 가지 주요 영역
4.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공학의 다섯 가지 영역이 적용될 수 있는 본인의 생각
Ⅲ. 결 론
본문내용
Ⅰ.서 론
교육공학은 교육에 필요한 인적, 물적요소를 목적에 맞게 합리적으로 계획하여 실행하기 위한 학문이다. 가장 최근에는 “학습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에 관한 이론과실제”로 개념적 정의가 내려졌다. 교육공학이란 용어는 기록에 의하면 1920년대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육에서의 문제해결을 위해 과학적이고 조직적인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교육공학은 지난 70여년간에 걸쳐 패러다임 전환이 있어 왔다.
교육공학이란 영사기, 녹음기, TV, 비디오디스크, 컴퓨터 등의 기계적인 장치와 다양한 매체를 교수 보조물로 간주하고, 교수기기와 절차를 중시하고 개별 학습자의 차이나 교수 내용의 선정 혹은 설계는 간과하고 있다. 시청각교육공학이라고도 하고, 필름, 콘셉트필름, 교재제시판, 오버헤드프로젝터(over head projector), 슬라이드 등의 각종 투영교육기기, 테이프식이나 시트식 자기재생기, 자기녹음기, 라디오, 텔레비전, CCTV 등을 활용하여 교재를 제시하는 방송교육기기의 이용과 관련이 된다. 특히, 컴퓨터가 발달을 하면서 이 방면의 연구는 더욱 활발해졌다. 이와 같이 과학기술의 성과를 교육에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본격화되었다. 시대가 발전하고 매체의 활용이 좋아짐에 따라 시대의 요구에 맞게 새롭고 진보된 교수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시청각교육 및 정보통신매체들을 활용한 교수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하여 필자가 생각한 교육공학에 대한 정의를 내려본 후, 각각의 영역 다섯 가지 영역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 예를 들어 의견을 개진해 보겠다.
Ⅱ. 본 론
1.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
교육공학에 대한 초기의 정의는 교수매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교육공학은 행동주의의 영향으로 효율성과 효과성에 지나치게 집중해 교육을 비인격적으로 만든 측면이 있었다. 이후에 교육공학은 새로운 심리학적 근거에 의해 보다 인간적으로 만들려는 노력을 했다.
참고 자료
박성익 외, 교육공학 탐구의 새 지평, 교육과학사, 2001.
정명화 외 4인 공저,교육방법 및 교육공학,학지사(2009)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04.
임철일․임정훈․이동주 공저,교육공학, KNOU(2011)
교수-학습과 교육공학,박숙희 외, 학지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