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명자(1984), 「국민학교 국어과 평가의 원리와 실제」, 한국 교육 개발원.
· 강신항(1991), 「현대 국어 어휘 사용과 양상」, 태학사.
· 고려대 한국학연구소(1997), 「한국어 능력 평가」, 국학자료원.
· 교육부, 각급 학교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 및 해설서, 국어 교과서,
· 국립교육평가원(1997), 「전국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 김광해(1987), 「유의어 반의어 사전」, 도서출판 한샘.
· 김광해(1989), “이차어휘의 교육에 대하여”, 「선청어문」 16․17,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 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 김광해(1994), “국어 교육 평가의 이상과 현실”, 「선청어문」 22,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 김광해(1997), “어휘력과 어휘력의 평가”, 「선청어문」 25,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 김대행(1995),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 김봉순(1992), “읽기 평가에 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 김유정 외(1998),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9권1호,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 김정자(1992), “쓰기 평가 방법 연구: 평가 기준의 설정과 그 적용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 김종택(1971), “이디엄(idiom) 연구”, 「어문학」 25, 한국어문학회.
· 김종택(1992), 「국어 어휘론」, 탑출판사.
· 노명완 외(1988),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 노명완(1990),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 국어 교육 개선 방안 연구(학술세미나). 서울대 사대국어교육과.
· 노명완(1992), “말하기 및 듣기의 본질과 평가의 방향”, 제3회 국어교육연구 발표대회 논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 박영목․이인제․남미영(1991),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계 연구(Ⅱ): 국어과 평가 체제 모형 개발 및 도구 예시」, 한국교육개발원.
· 박영목(1992), “중․고등학교에서의 말하기․듣기 평가”, 제3회 국어교육연구 발표대회 논문, 한국국어교육학회.
· 박영순(1998), 「한국어 문법교육론」, 박이정.
· 변창진 외(1996), 「교육평가」, 학지사.
· 손영애(1992), “국어 어휘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한자 이용 여부를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 윤희원․이성영(1990), “언어사용기능 평가의 지향과 과제”, 「교육한글」 3, 한글학회.
· 이기문(1989),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리더스다이제스트.
· 이대규(1990), “낱말 수업의 목표와 방법”, 「국어교육」 71․72.
· 이대규(1995), 「국어 교과의 논리와 교육」, 교육과학사.
· 이문규(1996), “국어과 언어영역의 성격”, 「국어교육연구」 28, 국어교육연구회.
· 이상태(1978), 「국어교육의 기본 개념」, 한신문화사.
· 이상태(1993), 「국어교육의 길잡이」, 한신문화사.
· 이삼형(1996), “읽기 교육과정과 읽기 평가”, 「국어교육연구」 제3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 이성영(199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 이영숙(1996), “국어과 지도 대상 어휘의 선정 원리에 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 이용주(1995), 「국어 교육의 반성과 실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 이충우(1994), 「한국어 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 임병빈역(1993), 「영어교육평가기법」, 한국문화사.
· 임지룡(1991),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23, 국어교육연구회.
· 임지룡(1992),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 임칠성 외(1997), 「한국어 계량연구」, 전남대 출판부.
· 전은주(1997), “한국어 능력 평가”, 「한국어학」 6, 한국어학회.
· 정광외(1994),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학」 1, 한국어학회.
· 허경철 외(1995), 「고등학교 국어․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상세화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한철우․이인제(1990),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Ⅰ): 국어과 평가체제 모형 개발 및 도구 예시」, 한국교육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