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결정원리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임금에 대하여
(1)임금
(2)임금관리
(3)임금수준
(4)임금의 체계
2. 임금 결정 요소(원칙)
1)임금결정원칙
2)임금결정요인
3. 근로기준법의 임금규정
4. 임금결정원칙의 예
본문내용
임금의 체계에 대해 살펴본다면 근로자가 받는 임금의 구성요소, 즉 기본급·가족수당·초과근무수당 등의 항목의 구성, 다시 임금체계의 구성항목은 기준내임금과 기준외임금으로 나눌 수 있다. 소정 근로시간 내의 근로에 대하여 지급되는 임금이 기준내임금이며, 소정 근로시간 외의 근로에 대하여 지급되는 것이 기준외임금이다. 기준내임금으로서 무엇보다 중요한 항목은 기본급으로서, 이것은 근로자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근무하는 대가로 지급되는 약속된 임금부문으로서, 수당·능률급·상여금 등을 산정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기본급은 그 근로자의 기업에서의 임금상의 품격을 표시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기본급의 결정방법은 연공급·직무급 체계로 나눌 수 있다. 연공급체계는 근로자의 속인적인 요인(연령·학력·근속연수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한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직무급체계는 여러 직무의 내용을 분석하여 각 직무에서 요구되는 기능과 책임도 및 작업환경 등의 제조건이 같은 정도의 것을 하나의 직급에 편입하여 각 직급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각 근로자의 연령·근속연수·가족수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다만 그 속하는 직무에 해당하는 임금이 지급된다. 한국에서도 임금의 연공서열에 따른 인상률의 상승이 기업경영에 상당한 압박요인이 됨에 따라 점차 직무급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