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이론
- 최초 등록일
- 2000.08.31
- 최종 저작일
- 2000.08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모방론의 개념
2. 플라톤과 〈이데아〉
3. 플라톤이 말하는〈이데아〉의 모방에 관하여
본문내용
1. 모방론의 개념
`모방(模倣)`은 〈미메시스(La mimesis)〉라 한다.
`모방`은 사전적으로"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 또는"어떤 개개인이나 집단에 의하여 행하여진 행동, 태도, 관습, 사상 따위와 같은 표현으로서의 자극이, 다른 개개인이나 집단에 작용되어서 유사(類似)한 표현을 시키도록 유발시킨 경우에, 뒤의 표현과 그 과정을 이름." 이라고 해석된다.
모방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많은 학설의 주제로 쓰여졌다.
그 중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은 인류의 모방본능에서 발생했다고 했다. 이것은 모방설로 이어진다. 모방설(模倣說-theorie de l`imitation)은 모든 사회 현상의 근원이 모방에 있다고 주장하는 학설이다. 이 모방설은 타르드(Tarde)의 인간심리학적 견해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모방`이라는 단어의 뜻이 조금 다르다. 여기서 `모방`은 예술에 있어서의 모방의 의미, 즉 〈미메시스〉로 정의된 존재와 진실에 대한 개념인 것이다. 플라톤이 말한 `모방`은 다른 것이 아니라 이데아의 모방이다. 즉, 이데아의 모방이란 이런 것이다.
만약 도자공이 자신의 머리 속에 있는 개념을 형상화시켜 도자기를 만들었다고 하자. 물론 그가 머리 속에서 그려낸 도자기는 《자연의(natural)》,본질적인 0이데아의 도자기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