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국가" 소논문 A+] 플라톤과 프로이트로 보는 인간의 세가지 요소
- 최초 등록일
- 2022.06.13
- 최종 저작일
- 2021.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플라톤 "국가" 소논문 A+] 플라톤과 프로이트로 보는 인간의 세가지 요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간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
1. 플라톤의 ‘영혼 삼분설’
2. 프로이트의 ‘성격의 삼원구조 이론’
Ⅲ. 플라톤과 프로이트 이론의 비교
1. 이성-욕구의 관계
2. 이성-기개의 관계
3. 발달순서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의 내면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고찰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람들의 궁금증을 자극하는 주제였다. 그 물음에 대한 해답을 동양에선 공자의 ‘인의예지’로 보았고 서양에선 플라톤의 영혼 삼분설로 보았다. 본 글은 그 중 『국가』에서 나타난 플라톤의 영혼 삼분설에 집중하여 해당 이론의 심도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플라톤은 서양의 철학사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영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는가 말하길 ”서양철학은 플라톤의 각주에 불과하다.“라며 플라톤의 철학에 대한 찬사를 보냈는데 여기서 그의 업적이 서양 철학사에 얼마나 큰 발자취를 남겼는지를 짐작해볼 수 있다. 그만큼 플라톤 후대의 철학자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대표적인 철학자가 지그문트 프로이트이다. 니체, 마르크스와 함께 20세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철학자로 꼽히는 그 역시 플라톤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내면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에 대해 깊이 고찰했다. 그 결과 그는 인간의 내면이 3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여 내면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주장했다. 그리고 이것은 그가 플라톤의 영향을 받았음을 드러내듯 영혼 삼분설과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플라톤의 영혼 삼분설이 주장하는 욕구, 이성, 기개는 프로이트의 성격의 삼요소 중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로 각각 대응된다.
참고 자료
김윤동. (2020). 플라톤의 영혼론의 전개. 철학연구, 1-34.
강성훈. (2005). 『국가』 4권에서 영혼의 세 부분. 서양고전학연구, 23, 29-69.
이보연 아동가족상담센터, 마음백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d/cdtheory/cdtheory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