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의 사회적 구성과 한국공동체 공간의 공유 (Social construction of a space and space-sharing of the Korean community spac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2.03
35P 미리보기
공간의 사회적 구성과 한국공동체 공간의 공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86호 / 371 ~ 405페이지
    · 저자명 : 이동일

    초록

    공간은 개인, 집단을 정의하는 주요 변수다. 그러나 공간은 단순한 물리적 영역으로만 규정될 수 없다. 공간은 인간의 활동, 이념, 권력이 작용하는 구체적인 장소이다. 그래서 공간은 물리적 경계뿐만 아니라 이념적 경계를 가진 실체이다. 본 글에서는 공간이 사회적으로 구성됨을 확인하고, 그 공간에 대한 사적 소유와 공유의 의미, 한국공동체에서 공간의 공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공간은 인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곳이며, 생산 관계를 포함하는 곳이다. 공간은 또한 추상적이기 때문에 가치, 인간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이것이 바로 공간의 사회적 구성의 의미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 집단, 사회를 구성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장소가 곧 공간이다. 공간의 이용은 인간의 가치, 이념, 종교 등에 따라 달라진다.
    사적 소유와 공유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곧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나타나게 된다. 이윤과 교환가치를 절대적 가치로 생각하는 사적 소유의 자본주의에서 공간은 철저하게 파편화되고 개인화된다. 공간은 철저히 비용과 산출의 관점에서 고려된다. 그것은 현실의 불평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공동체는 집단 전체의 소유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공간, 장소, 땅에 대한 이용, 소유방식에서 자본주의와 차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공동체는 공유하고 나눈다는 의미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공간의 공유는 필연적이다. 일상의 공간 즉 식사, 주거에 있어서 그리고 생산공간을 공유한다. 따라서 공동식당, 공동 주거, 공동노동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은 필연적이다. 공동체는 형식과 내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일상을 공유한다는 인식은 공간의 공유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공동체에 대한 사회학적 정의에 공간은 그래서 단순한 공간의 의미를 넘어서는 공유의 공간이다.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는 가상공동체, 네트워크공동체 등의 새로운 형식의 공동체로 변모해가고 있다. 전통적 의미에서 공동체와는 다른, 공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상이든 네트워크든 간에 공간이 가지는 실체로서 공유의 공간이라는 점은 공유된다. 기존사회와는 다른 공동체는 공유라는 이념적 가치에서 공간을 구성한다. 공간은 그래서 모두의 공간이며, 공동체의 이념을 통해 공간을 구성한다. 개인의 소유가 정당하듯이 공동체적 소유도 역시 정당하다. 한국공동체는 공간의 공유를 통해 이념과 실제를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이념과 공간의 공유는 실천을 통해 그리고 현실의 구체적인 삶에서 증명하는 하나의 움직임이며 운동이다.

    영어초록

    A space is a major variable that defines individuals and groups. But A space cannot be prescribed as a merely physical realm. A space is a place within which interact activities, ideologies, and power of human beings. So, a space is not just a physical boundary but a truth that has an ideological one. This paper is intended to confirm that a space is a sociological construct,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private ownership and sharing for a space, and share-space of the Korean community.
    A space is a place in which occur human beings' interactions, and includes production relations. A space consists of value and human activities. as it is abstract, as well. This is indeed the meaning of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Human beings construct groups and societies for their own survival, and the concrete place of which is a space. The use of a space can be differ depending on the value, ideology, and religion of human beings.
    The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private ownership and share-space appears as the cognitive distinction on spaces. A space became throughly fragmented and individualized in private-ownership capitalism where profits and exchange values are considered the absolute value. A space is completely regarded as the viewpoint of cost and benefit. This comes out as inequality in reality.
    However, community cannot but have differentiation on a space, a place, the use of land, and the mode of ownership by capitalism, in that community makes a premise of the ownership of all the group members. Community initiates from in the meaning of distribution and sharing. Accordingly, publicly owning space is inevitable. It shares everyday space, or dining and housing, and production space. In effect, it is essential that it consists of communal dining, communal housing, and communal laboring. Communities take on various formality depending on contents and styles. But, the cognition of everyday sharing ought to be connected to space sharing. That is why, in the sociological definition of community, a space is the space which transcends a simple meaning of a space. However, in modern society, community transforms into new forms such as virtual community, network community and so forth. Whether virtual or network, the meaning of shared space is shared as a truth which a space has.
    Community -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ociety - consists of a space upon ideological value of sharing. Therefore, a space is a space-for-all, and consists through the ideology of the community. Communal ownership is as just as private ownership is. The Korean community realizes ideology and reality through space-sharing. The sharing of ideology and space is an activity and movement which can be proved by practice and the concrete life of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