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실천에 참여’로서의 학습과 공동체 (Learning as Participation in Social Practices and Communiti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05.02
16P 미리보기
‘사회적 실천에 참여’로서의 학습과 공동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3호 / 101 ~ 116페이지
    · 저자명 : 이기범

    초록

    일종의 ‘물질’로 여겨지는 지식이 습득되는 과정을 학습이라고 믿는 ‘습득의 관점’은 의미 있는 학습 체험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저해한다. 대안으로 사회적 실천에 참여를 학습으로 이해하는 ‘참여의 관점’이 제안된다. 사회적 실천은 내적 가치, 탁월성의 기준, 규칙의 준수에 의해 구성되고 수정되는 일련의 의미 있는 활동이다. 참여의 관점은 학습을 공동체에서 공유되는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구성원의 참여가 증대되면서 적합한 상호작용의 방식을 익히고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해석한다. 참여의 관점은 학습의 목적이 더 좋은 삶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명료화함으로써, 교육의 비전과 제도에 대한 성찰을 가능하게 하고, 학습의 개념을 풍요롭게 하는데 유용성이 있다. 그러나 다양한 가치가 갈등하는 현실에서 사회적 실천과 공동체 개념의 경험적 가능성과 규범적 타당성을 정립하는데 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천과 공동체에 대한 규범적 기대를 줄이고 더 다양한 실천을 허용하여 실천공동체를 성취하고 성장시킬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Positing that experiences of meaningful learning are on demand to promote the life-long learning, this paper attempts to establish the viable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ducive to the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pitfalls of 'the acquisition view' as a way to understand learning; to introduce 'the participation' view as an alternative; and to discuss the ways to deploy it as a viable metaphor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view, learning is a matter of individual acquisition of knowledge or its structures. This view appears to rely on a widely accepted 'folk theory' that governs popular thinking. It is problematic in that it appears to facilitate the reactive forms of learning, to reduce learning to teaching, and to hinder the expansion of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learning.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provides the participation view wherein learning is seen as a process of participating in various social practices and shared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MacIntyre, practices are recurrent series of meaningful activities that involve the obedience to rules, the pursuit of the standards of excellence, and the achievement of internal goods. In this view, learning is also a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community by means of learning to interact according to its social norms and (re)constructing one's identity. The participation view discloses the purpose of learning as a quest for 'the good life' and allows us to reflect on the vision of education and its institutional practices, enriching the field of learning.
    However, the notions of practices, good life, and community fall into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their empirical possibilities and normative validities. This predicament becomes exacerbated under the constellation of diverging and conflicting values we confront in school and society. It is a hard educational task to collaboratively search the good life and to build the community in school while striking the workable balance between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As an attempt to ameliorate it, this study proposes to loosen the normative hold on practice and community. For this endeavor, this study discusses some insights drawn from Dewey's no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Wenger's notion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It is then expected that diverse forms of practices contribute to the accomplishment and growth of viable communities and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