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유아 관련 기관 교사의 영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Daycare Curriculum Among Professional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5.05
12P 미리보기
영유아 관련 기관 교사의 영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9호 / 239 ~ 250페이지
    · 저자명 : 김해숙, 권정현, 권용준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아보육 및 유아교육 현장에서 종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파악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J도의 영유아 보육 및 교육 기관인 어린이집, 유치원에 종사하는 1,566명을 대상으로 2024년 11월약 한 달에 걸쳐 온라인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 대상의전공, 보유한 자격증별로 집단을 구분한 후 교차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교육학을 전공한 집단이 보육을 전공한 집단에 비해 영아교육과정의 새로운 수립 및 영유아교육과정 통합의 필요성을 더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영아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전공별로는 교육학 전공자 집단이 보육 전공자 집단에 비해,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별로는 유치원 교사 집단이 보육 교사 집단에 비해 영아의 발달을 측정하는 도구의활용, 유연한 반편성에 보다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육과정을 운영할 교사의 자격 및 자질에 대한 인식에서도 전공별로는교육학 전공자 집단이 보육 전공자 집단에 비해, 자격증별로는 유치원 교사 집단이 보육 교사 집단에 비해 새롭게 개편되고 보강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만, 영아교육내용에서 초점을 맞추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의견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유보통합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영유아관련 기관 교사의 영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전공 및 보유한 자격증별 차이를 탐색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점을제시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opinions of teachers working in infant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regarding the infant curriculum.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one month in November 2024. The survey targeted a total of 1,566 teachers employed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Province J.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calculations. Furthermore, partic ipants were grouped based on their academic major and professional certifications, follow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tests to identify group differenc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education demonstrated a stronger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new daycare curriculum and integrate it with the early childhood curricu lum compared to those with a background in childca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key components of the daycare curriculum were also observed. Specifically, participants with a major in educ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favorable towards the use of tools to assess infant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flexible grouping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Regarding the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re quired of teachers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infant curriculum,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educ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the need for restructuring and strengthening such qual ifications compared to those with a background in childcare or childcare teacher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 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groups regarding the specific aspects of content that should be priori tized in the infant curriculum.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s working in infant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t a time when the integr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s is being gradually implemented. Moreover, it explores differences in perceptions based on academic background and professional certif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