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국가 노동관계법상의 근로자의 의미 (The Definition of Employee in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0.04
29P 미리보기
미국 국가 노동관계법상의 근로자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8권 / 1호 / 125 ~ 153페이지
    · 저자명 : 황경환

    초록

    본 논문에서는 미국 연방노동법 중에 우리나라의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과 유사한 국가노동관계법(National Labor Relations Act 이하 「NLRA」이라 칭한다) 상의 근로자의 법적의미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법이란 법 주체(권리 의무의 주체)의 법률관계 또는 권리 의무관계를 규율하는 것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권리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도 법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라고 할 수 있지만 권리주체가 누구인지를 아는 것이야 말로 법을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라고 할 수 있다. 노동법률관계에서 권리 의무의 주체는 근로자, 사용자 및 노동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통상 법률은 권리주체를 정의하여 그 범위를 정한다. 문제는 노동법률관계에서 법률주체를 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추상적이고 간단한 법규정 자체만으로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하는 노동시장을 적제 적시에 효과적으로 규율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결국 의미표현의 한계를 스스로 가지고 있는 법규정으로 노동시장을 성공적으로 규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법을 해석해서 적용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노동법률관계의 주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정법뿐만 아니라 이를 해석한 판례를 연구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근로자의 법적지위 또는 개념의 정립은 노동관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근로자의 권리의무관계를 결정하는 대 전제이다. 그러므로 미국에서의 근로자의 법적 권리를 연구함에 있어 NLRA상의 근로자의 개념을 연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연방노동법은 근로자를 보호하기위해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권리를 보장하고 있고 사용자에게 많은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근로자의 개념은 연방노동법에 따라 다르고 NLRA상의 근로자 개념도 독립계약자와 쉽게 구별하기 어렵다. 미국 국가노동관계법상 근로자의 정의는 매우 추상적이고 간단하여 그 규정만으로는 그 실체를 알 수 가 없어 판례법(common law)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판례법은 판사가 만드는 법이다. 그러므로 그 속성상 노동시장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근로자의 의미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추상적이고 간단하여 그 실체를 쉽게 알 수 없다. 그래서 대법원도 급변하는 노동시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근로자의 개념을 상당히 유연하게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대법원의 판결 역시 상당히 추상적이기에 쉽게 이해할 수 없다. 본 논문은 미국대법원의 판례를 분석 검토하여 NLRA 상의 근로자 개념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research legal definition of employee in US National Labour Relations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NLRA). The purpose of NLRA is to protect employee in the labour relations with employer and labor organization. NLRA provides many legal rights like forming, joining, and assisting labor organization for employee while FLSA provides minimum wage, overpaid wage, children labour record keeping and equal payment.
    NLRA simply stipulates that employee means any individual employed by an employer. It is not easy and sufficient to distinguish who is employee or independent contractor with the brief provision of employee definition in NLRA. The decision of who is employee is precondition for employee to enjoy the legal rights given in NLRA. The concept of employee in NLRA has been established by the Court decisions under the common law doctrine which deserves academic legal analysis. According to the court which adopts common law standard about whether relationship is that of employer and employee or is one of independent contractor, all incidents of work relationship must be assessed and weighed, and among factors to be considered are right to hire and discharge, method and determination of payment, whether person doing work is engaged in independent business or enterprise, whether he stands to make profit on work of those under him, which party furnishes tools or materials, who has control of premises where work is done, whether relationship is of permanent character, skill required in particular occupation and who designates where work is to be performed. This method by court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at of determination of employee of FLSA which focuses on economic reality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On the contrary employee under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centers on employer's ability to control purported employee; word “control” suggests need for examination of many characteristics of employer-worker relationship which may include a payment for services as determined. But all this standard is not fixed but changeable by the labor situation. The USA NLRA provision defining the concept of employee can not cover real labor market situation where new kinds of job appears and disappears rapidly. The only resolu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bout who is employee or not is just up to the judges who has authority to interpret the abstractive law. So in order to grasp the legal meaning of employee, we have to analyze the case which is also not easy for us to understand. The case defining the employee shows many factors to be employee. This paper deals with and reviews factors and legal principles for deciding on NLRA employ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