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정체성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a Legal Point of View)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12
23P 미리보기
법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과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사회 / 59호 / 273 ~ 295페이지
    · 저자명 : 김창록

    초록

    이 글에서는 ‘법적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정체성’에 관한 하나의 정리를 시도해본다. 먼저 판단의 기준에 대해 살펴보고, 대한민국 정부의 자기인식과 밖으로부터의 규정에 대해 검토해본 후, ‘1948년 건국론’에 대한 점검을 포함하여 지금의 단계에서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대한민국의 법적 정체성’이라는 국가의 동일성 내지는 계속성에 관한 이 글의 주제와 관련해서는 명확한 법적 기준을 발견하기 어렵다. 애당초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연속과 단절의 계기들은 달리 유례를 발견하기 어려운 것들이기도 하다. 그 점에서 ‘대한민국의 정체성’에 대한 법적 접근은 ‘대한민국’의 사례에 걸맞는 새로운 법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법적 기준 부재’의 상황에서 우선 주목되는 것은 당사자인 대한민국 정부의 법적 자기인식이다. 그것은 ‘대한민국 정부는 대한제국 정부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 정부로 연속되어 온 동일한 국가의 하나의 정부이다’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대한민국 정부의 법적 자기인식에 대해서는 일본과 미국 등 국제사회로부터 이의가 제기되어 왔다.
    이와 같이 한편으로 대한민국 정부의 법적 자기인식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 그에 대한 밖으로부터의 이의가 존재한다. 전자가 ‘안으로부터의 규정’인데 대해 후자는 ‘밖으로부터의 규정’이다. 그 양자 사이에서 과연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밖으로부터의 규정’에 기대어 대한민국 정부와 대한제국 정부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이의 연속성을 부정하는 단절의 길이 있을 수 있다. ‘1948년 건국론’은 실제로 그 길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한제국 정부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 정부로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법적 정체성’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정부의 확립된 자기인식이 존재한다. 그 자기인식을 거슬러 단절과 축소와 배제의 길로 나아가야 할 이유는 없으며, 애당초 그 길은 바람직하지도 않다.
    대한민국 정부의 확립된 자기인식을 이어가고 확산ㆍ심화시켜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의 자기인식을 보다 적극화하고, 그에 상반되는 일본과 미국 등의 이의에 적극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try to examine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a legal point of view’. I look at the criteria of the judgment, examine the self-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cognition from outside, and then consider what to do at this stage, including a check on ‘the insistence of 1948 found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clear legal standards regarding the subject of this article on the legal identity or continuity of a nation. At the very first time, a similar case to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is difficult to find. In this regard, the legal approach to the legal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law that suits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ituation of ‘absence of legal standards’ like the above, the legal self-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 being watched with keen interest. It can be said tha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 government of the same country which has continued as the Government of the Korean Empire -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objec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legal self-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such, on the one hand there is the legal self-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bjections from outside. The former is ‘the recognition from inside’, whereas the latter is ‘the recognition from outside’. What should we do in this situation? There may be a way to break the continuity among the Government of the Korean Empire -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leaning on the ‘the recognition from outside’. The insistence of 1948 foundation seems to be actually aiming this way. However, there is an established self-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egarding the successive ‘legal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no reason to go to the road of disconnection, reduction, and exclusion against her self-recognition, and the road is not desirable in the first place.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must continue to establish and deepen her self-recognition.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elf-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ctively respond to the objections fr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