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 학습권에 관한 법적 고찰 (Legal reflexion sur le droit d'apprendre des enfa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3.12
30P 미리보기
어린이 학습권에 관한 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법학연구 / 15권 / 2호 / 145 ~ 174페이지
    · 저자명 : 안주열

    초록

    본 연구에서는 「법규범으로서의」 학습권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헌법학에서 학습권은 異論없이 자연적 권리로서 인정되고 있으나, 개별기본권으로서의 그 실체가 불분명하고, 특히 헌법 제31조의 「교육을 받을 권리」와의 관계가 모호할 뿐만 아니라, 교육학·교육법학계에서는 하나의 관념적인 교육이념으로 주장되기도 한다. 학습권은 그밖에 우리 헌법 제10조의 「인간의 존엄」, 「행복추구권」, 또 헌법 제22조의 「학문의 자유」 등과도 관련하여 해석되고 있기 때문에, 학습권을 법개념으로서 정립하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여러 학습권 주체 가운데 「어린이」를 주로 고찰하였다. 왜냐하면 학습권이 인간의 자연적 권리이므로 누구나 그 주체가 될 수 있겠지만, 그 가운데 「어린이」가 학습권을 집약적으로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Cette recherche concerne au droit d'apprendre des enfants. Comme le droit d'apprendre est le droit naturel de l'homme, tout le monde peut être le sujet de ce droit. Or la raison pour laquelle notre recherche prête attention au droit d'apprendre chez les enfants, c'est qu'il est le sujet principal de ce droit. Notamment, la situation mal equilibrée de l'éducation d'aujourd'hui de la Corée empêche les enfants de construire correctement sa personnalité et son originalité. Il faut donc établir la loi du droit d'apprendre des enfants pour que ce droit soit considéré comme le but et le critère essentiels en construisant et en pratiquant la polique éducative.
    Cette recherche examine donc le concept du droit d'apprendre en tant que la norme législative. Jusqu'aujourd'hui, le droit d'apprendre est considéré comme le droit naturel dans le domaine de la science de Constitution. Mais son entité comme le droit individuel fondamental n'est pas claire, et d'ailleur non seulement son lien avec <le droit d'être enseigné> de l'article 31 de la Constitution est abstrait, mais aussi il est simplement considéré comme une idéologie educative dans le domaine de la pédagogique et la jurisprudence pédagogique. Le droit d'apprendre est interprété en divers sens, étant lié à <la dignité de l'homme>, au <droit de recherche de bonheur> de l'article 10 de la Constitution et à <la liberté de l'étude> de l'article 22. Il est donc significatif de contribuer au droit d'apprendre le concept législatif qui a l'efficacité de la norme.
    Pour comprendre le concept du droit d'apprendre, nous avons observé le processus historique du développment du système d'enseignement, et examine les théories qui discutent sur le sujet qui possède le droit d'apprendre et aussi le mode de la composition du principe de la loi concernant à ce droit.
    Dans ce cadre, cette recherche explique le droit d'apprendre des enfants dans l'ordre suivante.
    Premier, nous avons observé le droit d'apprendre des enfants dans le point de vue historique. Second, nous avons tenté l'observation législative sur le droit d'apprendre. Ces jours-ci, la loi fondamentale d'enseignement détermine le droit d'apprendre à l'article 3. Cependant cette détermination n'est pas suffisante pour définir le droit d'apprendre comme le droit fondamental de l'homme. C'est alors nous avons expliqué la fonction, le caractere législatif du droit d'apprendre, interprété et défini sa disposition de fondement constitutionnel et développé les cas concrèts prévus du droit d'apprendre. Il n'est pas clair sur le plan pratique le rôle fonctionnel du concept sur le droit d'apprendre qui est développé dans le domaine de la pédagogique.
    Afin d'améliorer la validité du droit d'apprendre, nous avons tenté de saisir la fonction et le sens normatif du droit d'apprendre et aussi etudié son caractère législatif, sa base constitutive et son conten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