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빵이다, 몸이다… (Bread and Bo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6
36P 미리보기
빵이다, 몸이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8권 / 2호 / 323 ~ 358페이지
    · 저자명 : 조태연

    초록

    마가복음에서 식탁교제의 모티프는 확연하다. 특히 수난사화에서 절정에 도달한다. 예수는 빵을 가리켜 당신의 ‘몸’이라 한다(14:22). 마가는 분명 빵과 식탁교제의 모티프(빵의 기독론)로써 예수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마가복음에서 식탁교제 모티프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일관되고도 통일된 문학적, 신학적 틀이 있다면 그것은 빵으로써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하는 ‘빵의 기독론’이다. 그것은 ‘빵의 상징’과 ‘몸의 신학’이다. 문제는 마가복음 초입에 나타나는 식탁교제의 본문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느냐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마가복음의 첫 번째 대단원(1:1-3:6)에 나타나는 식탁교제를 ‘빵의 기독론’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증명하려고 한다. (1) 예수는 세례와 시험 후 천사들에게 수종을 받음으로써 몸을 회복하였다(1:13). 그리고 시몬의 장모를 고친 후엔 그녀에게서수종을 받음으로써(1:31) 놀라운 ‘하나님의 나라를 ‘체험하였다.’ (2) 갈릴리논쟁에 나타난 빵의 신학과 확신은 모두 천사들과 시몬의 장모를 통해 얻은바 몸의 회복과 하나님 나라의 체험에서 왔다. (3) 그 신학과 확신이 바로 빵의 기독론을 만들었고, 후자가 마가 전체를 통하여 복음의 줄거리를형성한다. 이 논문은 문학이론과 서사비평을 방법론으로 한다. 특히, 당신의 체험과 그에 따른 ‘의식’의 변화를 중시함으로써 예수를 ‘입체적 인물’ (round character)로 전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서사적 공간’을 확보할 수있다.

    영어초록

    The literary motif of table fellowship is clear and dominant in the Gospel of Mark. It reaches its climax, especially in the passion narrative. Jesus identifies ‘bread’ as his ‘body’ (14:22). Mark obviously leads his gospel with the motif of bread and table fellowship. If we have one single, consistent, and unified literary and theological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 whole table-mate motif in the Gospel of Mark, it is the “Christology of Bread,” which symbolizes the body of Christ as bread. In other words, the ‘symbol of bread’ and the ‘theology of body.’ The problem is how to understand the texts of table dating that appear at the beginning of the Gospel of M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table fellowship motif in the first unit of the Gospel of Mark (1:1-3:6) within the “Christology of Bread.” This paper tires to prove the following argument: (1) After the baptism and temptation, Jesus recovered his body by being served with breads by angels (1:13). And after healing and by being served with breads by Simon’s mother-in-law, Jesus experienced the kingdom of God in the table fellowship. (2) The theology and conviction of bread by Jesus in 3:1-6 all came from the same restoration of his body and his experience of the kingdom of God. (3) The Christology of bread came from his theology of bread and assurance, and the latter forms the plot throughout the Gospel of Mark. This paper employes literary criticism and narrative criticism as a methodology. In particular, we assume Jesus as a “round character” by placing emphasis on his experience and consequent changes in consciousness. By doing so, we can secure some space for narrative imag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판매자 설정표지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