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적 가치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 조사 (Investigation on student’s attitude to traditional valu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전통적 가치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 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27호 / 285 ~ 310페이지
    · 저자명 : 심승우, 지준호

    초록

    이 연구는 전통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에 대한 조사로서, 전통교육의 현대화와 민주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설문조사 연구는 정치학과 동양철학, 교육학 등 학제간 통섭의 측면에서 전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본 설문지는 문헌연구를 통해 설문 내용을 크게 ‘A: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 및 선호도, B: 전통 및 전통문화의 필요성 및 활용성, C: 전통교육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 등 세 범주로 분류하고 그 아래에 각각 5개의 항목, 즉 총 15개의 설문 항목을 전문가의 자문 내용에 근거하여 5점 척도에 준하여 구성하였다. 이 설문항목 구성의 원칙은 전통의 내용과 교육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 평가하기 보다는 전통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과 이미지를 파악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었다.
    본 설문조사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년과 나이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으며, 설문의 편의를 위해 학교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총 인원수는 1,598명이며, 평균나이는 16.50세이다.
    본 설문조사 결과, 전통교육의 필요성과 기대심에 비해 학교현장에서의 활용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므로 변화된 시대상을 반영하지 않거나 학생들의 개성과 흥미, 지적 수준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만을 묵수하여 고전이나 전통문화를 가르친다는 것은 효과적인 면에서 큰 의미가 없을 것이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는데, 이는 저학년일수록 학교 수업 및 기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통 관련 학습과 체험의 기회가 많은 반면, 고등학교와 대학교 등 고학년일수록 입시 부담과 취업 부담이 상대적으로 강하며 전통문화 관련 교육과 체험 기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관심 자체 역시 상당히 감소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전통교육의 현대화를 완성도 높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주체간의 긴밀한 협조와 지원이 결합되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urvey is abou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values and it will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to organize education program for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is is especially based on the contents for the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radition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of political science, oriental philosophy and pedagogy.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expert’s advice, this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 Interest and prefere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 B: Necessity and availability of tradition and traditional culture, C: Interest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y have 5 items each, that is comprised of five-point scale 15 questionnaire items total. Primary objective of the questionnaire items is to figure out the overall impression and image rather than estimate their specific knowledge on the contents of tradition and traditional education.
    The questioned of this survey ar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who live in capital area such as Seoul, Incheon, Gyeonggi and their grade and age are distributed evenly and for the convenience, the survey is performed on each school. The total questioned is 1,598 and 16.5 years old in average.
    As a result, they showed passive response on the availability and effect on school field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rather than necessity and anticipation. Therefore, it is meaningless in the sense of effectiveness to teach traditional culture adhere to traditional method without reflection of the phases of the times or considering personality, interest and intellectual level of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high response rate and the reason is considered the lower grades have many chances to study and experience traditional items through regular school class and various activities but the higher grades such as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due to the strong burden of entrance exam and getting a job, have lack of opportunity to study and experience them and less interest in them. Therefore, in order to carry forwar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with high degree of completion, it is necessary to combine close cooperation and support among the various educational particip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