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Seeking the Essentials of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9
23P 미리보기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8권 / 17호 / 519 ~ 541페이지
    · 저자명 : 문현진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의 모습과 초등교육의 정체성이 어떤 지점에서 맞닿아 있는지 살펴보고, 초등 사회과가 어떤 모습으로 자리 잡아야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이다. 사회과 수업에서 발현해야 할 ‘초등다움’을 논의하기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과 학습자를 이어주는 다양한 층위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1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동학년교사그룹, 수업분석전문가그룹, 사회과교육연구자그룹은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은 협력의 초보적 연습으로서 모둠학습과 삶과 맥락 지어지는 학습 내용, 다양한 교과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배움을 통해 발현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상의 수준에서 지향해야 할 사회과의 모습을 그려 본다면, 면대면 교육공간에서 인간 비인간과 어떻게 관계 맺을 것인가를 연습하고, 교육과정에 명시된 사회과학탐구 방법들이 실현될 수 있는 사회 기반이 구축되고,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끊이지 않고 순환되는 모습이 될 것이다. 새로운 시대가 공존과 융합, 창의성과 인간 주체성의 회복을 필요로 한다면 초등교육은 이런 변화에서 잘 버틸 기초체력을 기르는 인큐베이터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과는 주제의 유연함과 넘나들기가 허용되는 교과로서 시대가 요구하는 능력의 연습공간으로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ross points between the new era’s education and the identity of the elementary school class, and to discuss how to re-shape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 In this article, a Focus Group Interview(FGI) had been conducted throughout the teachers from numerous groups, who mainly connects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ith the learners, to look into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Three groups, Identical Grade group, Classroom Analyst Expert group, Social Studies Researchers group, agree with that the identity of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lass comes from the Group Activity as the first step of the cooperation, from the curriculum contents which oriented from the real life context, and from the inter-subject curriculum. Meanwhile, admitting the institutional and/or practical boundaries of the social studies class in real world, the ideological social studies class is to pursue the space of opportunity which all learners may practice face to face and/or face-to-nonface communication ; the social infrastructure which the methods of social studies may come true as in this own curriculum books ; and the endless circulation of process oriented education. As the new era requires coexistence, interrelation, and the recovery of human subjectivity,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s to be the basic incubator for enduring strength in such rapid changes. Therefore,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should secure its identical position as the practice area of new era with its flexibility and inter-subject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