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유학기제 정책의 추진배경 및 특징
1. 자유학기제의 추진배경
2. 자유학기제의 특징
Ⅲ.자유학기의 문제점
1. 청소년의 기초학력미달
2. 사교육 조장 및 교육격차 심화
3. 다양한 체험처 인프라 부족
4. 자유학기제 정책의 일관성 부족
Ⅳ. 자유학기제의 운용 방향과 과제
1. 학력 미달 해결방안
2. 사교육 조장 해결방안
3. 인프라 구축방안
4. 정책의 지속방안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자유학기제는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과제로 채택되어 중학교 교육의 핵심으로 등장했다. 한국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인 입시 위주의 경쟁으로 인해 주입식 교육에 매몰되어있는 현실을 해결하고자 교육부에서는 자유학기제를 추진하였다. 자유학기제란,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지식, 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수업을 하고 다양한 체험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제도이다. 2013년에 42개 연구학교를 시작으로, 2014년에는 전체 중학교의 25%인 911개교, 2015년에는 전체 중학교의 79%인 2,551개교에서 시범운영이 되었으며 2016년부터 전면확대가 시행되고 있다. 자유학기제는 자신의 적성과 미래에 대해 탐색하고 설계하는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자아를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규교육과정의 부실화, 사교육 시장의 변이 가능성, 교사의 진로 교육 지도 능력 부족, 진로 체험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부족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자유학기제 시행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자유학기제 운용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논의해볼 것이다.
Ⅱ. 자유학기제 정책의 추진배경 및 특징
1. 자유학기제의 추진배경
한국은 교육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아킬레스건이 있다. 그것은 바로 학생들의 낮은 행복도이다. 2012 PISA 결과 한국은 학업성취도 면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지만,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와 행복도 등 정의적 영역에 대한 지표에서는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참고 자료
이정인·유재봉(2016),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교육적 방향 탐색」, 『교육학연구』 54-4, 한국교육학회 1쪽~20쪽.
김달효(2015),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문화연구』 21-5,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79~202쪽.
정윤경(2016), 「“자유학기”의 개혁적 의미와 과제」, 『교육철학연구』 38-4, 한국교육철학학회, 105쪽~129쪽.
정소미(2021), 「자유학기제 도입기와 확대기 비교 연구:중학생 코호트 간 진로활동 참여 및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7쪽~238쪽.
박하나·최현규(2018), 「자유학기제 영어 수업 실태 조사와 학생 및 교사의 인식분석」, 『영어교육연구』 30-4,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7~226쪽.
김양분(2020), 「자유학기제 참여에 따른 중학생 학업성취도의 차별적 변화 분석」,『한국교육』 47-2, 한국교육개발원, 123쪽 ~158쪽.
이혜숙(2018), 「자유학기제 진로탐색활동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 전략」, 『정책리포트』 243호, 서울연구원, 1쪽~23쪽.
신철균·박민정(2015),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세 학교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3-1, 한국교육행정학회, 309~338쪽.
박대권 외 2명(2019),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6-1, 한국교육정치학회, 133~159쪽.
신철균 외 2명(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6- 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7~5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