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Emancipation and War, Peasant Movement after Korean W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0.06
40P 미리보기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촌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촌사회 / 20권 / 1호 / 7 ~ 46페이지
    · 저자명 : 장상환

    초록

    해방후 권력 공백 속에서 농지개혁 투쟁과 양곡수집 반대 투쟁이 폭발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미군정의 탄압이 집중되자 좌익 진영은 10월인민항쟁부터 미군정과의 정면대결로 나아갔다. 단독정부 수립후 여순사건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농은 소멸되고 농민운동도 사라졌다. 이 과정에서 조공 등 좌익 지도부는 대중적 경제투쟁의 중요성을 경시하고 정치투쟁에 편향되도록 했고, 유격대 투쟁이라는 극단적 방법을 구사함으로써 농민운동이 대중과 괴리되게 했다.
    1950년대에 미국 잉여농산물의 과다 도입에 따른 농산물가격 하락, 임시토지수득세와 잡부금 부담, 고리채 누적 등 농민운동의 사회경제적 조건은 충분했지만 자주적이고 조직적인 농민운동은 부재했다. 상인에 대항하는 농업협동조합 운동이 있었을 뿐이다. 1960년대에 농민들은 민간협업농장운동과 농협개혁운동 등을 전개했다. 또한 농업문제연구회와 농업근대화연구회 등 진보적 농업연구단체의 활동과 학생농촌활동을 통하여 진보적 농업문제 연구자와 활동가가 형성되어 갔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농민운동이 농촌운동에 머문 것은 한국전쟁과 국가보안법체제가 크게 작용했지만 기본적으로는 당시 사회경제적 조건 때문이었다. 공업화 미진전으로 농산물상품화 수준이 낮았고, 이농 기회도 적었으며, 도시민 빈곤으로 도농간 격차문제가 아직 대두되지 않았다. 농촌 내에서 전근대적 잔재의 해소와 마을 민주화의 필요성, 농민들의 낮은 교육수준과 기술수준 때문에 농업기술교육과 농업협동조합운동은 농민들의 생활상의 요구를 반영한 운동이었다. 1960년대 후반에 농산물가격문제의 대두와 농공간의 격차 확대 를 배경으로 농업ㆍ농민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인식이 확대되면서 1972년 가톨릭농민회의 창립 등 1970년대의 본격적 농민운동으로 나가게 된다

    영어초록

    Peasant movement for land reform and anti grain collection policy exploded in the political vacuum after the Emancipation in 1945. But the joint committee of United States and Russian Army failed, left group went on directly confronting with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beginning from October Harvest Uprising. After launching of separate South Korea Government in 1948 and Korean War in 1950, National Association of Peasant Unions was destroyed and peasant movements were reduced to ashes. In the process, the left leadership neglected the importance of mass peasant participation in economic struggle, and urged political action biased armed force struggle, making peasant movement to be alienated from general peasants.
    In the 1950's, drop of grain price by excessive import of United States surplus grain, burden of provisional land tax and miscellaneous fees, and accumulation of high interest rate private debt could be sufficient conditions for active peasant movement. But independent and organizational peasant movements did not take place except from cooperative movement confronting greedy merchants. Peasants undertook several cooperative farms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reform movement in the 1960's. Society for the Study of Agrarian Problem(launched 1956) and Society for the Study of Agricultural Modernization (launched 1965) and university student circles for rural activity provided the opportunities to bring up the progressive researchers and activists for genuine peasant movement.
    The reason why peasant movement remained as rural movement in the 1950's and 1960's is basically socioeconomic conditions, in spite of the influence of repressive system by Korean War and National Security Act. Owing to under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commercialization rate of agricultural products was low, the opportunities for immigration to cities were limited, and income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was not serious. Because of the necessity to clear up premodern remnants, to democratize village community, and to level up the education and agricultural skill of the peasants, agricultural skill education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movement were for the interest of mass peasants. Backed up by the rise of agricultural price problem and widening gap between industrial and rural sector in the late 1960's, scientific recognition of peasant problem spread widely and genuine peasant movement began in 1970's, as founding of Catholic Farmers Association in 197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