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에너지소비와 경제발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Based)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9.12
25P 미리보기
중국 에너지소비와 경제발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16권 / 4호 / 93 ~ 117페이지
    · 저자명 : 학원원, 조홍종

    초록

    에너지는 경제발전과 국민들의 생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경제 발전과 에너지는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에너지는 경제발전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에너지는 경제발전을 위한 필요조건이며 원동력이다.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경제발전에 있어서 에너지에 대한 수요와 의존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대규모 공업생산을 하는 산업화 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대량의 에너지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는 한 나라의 국민경제가 안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에너지와 경제발전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 국가의 에너지 분야의 발전은 경제발전에 필수적인 동력을 제공하며, 경제발전은 또한 국민의 생활수준을 향상시켜주고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 수준을 높임으로써 에너지 이용효율과 에너지 소비구조를 최적화시킨다는 점에서 에너지 분야의 발전을 촉진시키게 된다.
    개혁개방 이래로 중국의 에너지 소비량은 이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석탄 소비량의 경우, 1988년 95810만 톤에서 2018년 377000만 톤으로 늘었다. 이는 30년 동안 3.93배 증가한 것이고, 연평균 4.6% 증가한 것으로써 중국은 현재 세계 2위의 에너지 소비국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중국은 에너지 개발과 에너지를 이용한 분야에서 많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산업은 구조적으로 에너지와 자본 및 공업발전양식이 밀집된 조방식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환경파괴와 같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어떻게 최소한으로 환경파괴를 하면서 동시에 에너지분야와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가는 중국사회에 있어서 의미있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에너지와 경제가 조화롭게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에너지 분야의 발전은 경제발전을 야기하면서 동시에 경제발전이 역으로 에너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한 국가의 에너지 분야를 발전시킨다는 점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을 통해 에너지와 경제발전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1988년부터 2018년까지의 중국의 에너지소비, GDP, 자본투입, 제2차 산업노동량투입, 제2차 산업기여율 등의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을 구성하고, 각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한다. 또한 분산분석과 충격반응함수(Impulse Function), 그리고 Granger인과관계를 이용하여 각 변수에 대하여 분석한다.

    영어초록

    Energy resources are an important for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reflect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eople. Energy and economic development are closely related, interdependent and mutually reinforcing. So Ener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the demand and dependence of energy will keep increasing. Especially in the industrial era, large-scale industrial production requires a lot of energy to provide power support. Energy has become more essential for national economic sustainability, and stable development. Therefore, there is a very close and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energy and economic growth. Energy provides the necessary power to economic growth, and the growth of economy can enhance energy efficiency and optimize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Since Chinese economic reform in 1988, the consumption of energy has been growing rapidly. The number of energy consumption is 958.1 million tons of standard coal in 1988, while in 2018, this number increased to 3.77 billion tons which is 3.93 times of 1988.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energy consumption from 1988 to 2018 is 4.6%. China has become the world’s second largest energy consumption country in 2018. In the point of that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GDP from 1988 to 2018 is 9.63%, both of energy sector and economy in China are growing massively and simultaneously. However, After 30 years of Chinese economic reform, energy sector has not yet reached the statu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spite of a substantial increase of energy efficiency. Recently, China’s energy development faces many serious problems. These are caused by resource-intensive, energy-intensive, capital-intensive and pollution-intensive structure in China’s industrial development model. Therefore, in order to build a harmonious society, it has great significant meaning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an economic growth.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nalyzing how to achieve the coordinated development of energy sector and the economy. So based on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series variables. In the time series from 1988 to 2018, establish relevant VAR model through China’s total energy consumption, energy industry capital investment, secondary industry labor input, secondary industry’s contribution to GDP, and time data such as GDP, analyzed empirically, cointegration test, impulse response function, variance decomposition and Granger causality t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