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의 경험과 인물 이야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2
44P 미리보기
한국전쟁의 경험과 인물 이야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9권
    · 저자명 : 한정훈

    목차

    1.서론
    2. 지역민의 전쟁 경험과 인물
    3. 인물 이야기의 전개 양상
    4. 인물 이야기의 생성과 전승의 한계
    5. 결론

    초록

    본 논문은 한국전쟁 당시 영광 지역에서 활동한 빨치산 박막동을 통해서 이야기의 생성
    과 전승 양상에 대해서 살펴본다. 한국전쟁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성을 파괴한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담을 산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특별한 인물은
    사람들의 경험담에 포착되어 이야기되기도 하고, 단순한 일상 담화 수준을 넘어서 문학적
    형상성을 획득하기도 한다. 한국전쟁 시기 영광 지역에서 활동한 빨치산 박막동은 많은 지
    역민들의 기억 속에 머물면서 일상담화 수준을 넘어서 설화적 형상성을 취득하였다. 한국
    전쟁이라는 지역민의 공통 경험 속에서 박막동은 국가 권력으로 대변되는 경찰 및 좌익에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한국전쟁 기간 동안 권력을 점유한 집
    단들은 그 권력을 사적인 감정을 해소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한 반면, 박막동은 이들과 다른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지역민들을 폭력에서 보호하려고 했다. 이런 박막동의 모습이 지역
    민들에게 포착되어 1차적 경험담과 2차적 경험담을 형성하였다. 경험담은 그 모습을 확장
    시켜서 설화의 서사 문법과 접속하여 그 특질을 확대 재생산하는 모습도 보였다. 특히 박막동 이야기는 아기장수 설화, 김덕령 전설, 신돌석 이야기 등 영웅전설의 구조를 단편적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서 일상 담화가 문학 서사로 어떻게 전이되는지를 본 논문에서 살펴보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야기판의 소멸, 대중매체의 발달을 포함해서 지역의 이념적 특수
    한 요인이 박막동 이야기가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막고 있었다. 더불어 이념적 한계성으
    로 인해서 미래 또한 박막동 이야기의 전승 상황은 긍정적일 수 없음을 본 논문에서 지적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patterns in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stories
    based on the story of partisan Park Mak?dong who acted in the Yeonggwang
    area during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disrupted many people’s
    everydayness. This incident became a source of people’s various experiences.
    In the process, some persons were captured in people’s experiences and
    became stories, and some of such stories went beyond a simple daily discourse
    and acquired literary figuration. Partisan Park Mak?dong, who acted in the
    Yeonggwang area during the Korean War, remained in many local residents’
    memory and acquired legendary figuration exceeding the level of daily
    discourse. Given the local residents’ common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Park Mak?dong showed an image distinguished from that of many others who
    worked as policemen representing state power or as leftists. While the groups
    who held power during the Korean War used the power in order to vent their
    private emotions, Park Mak?dong showed a different character. Even he tried
    to protect local residents from the violence of state power. As this feature of
    Park Mak?dong was captured by local residents, primary and secondary
    experiences were formed. Then, the experiences were aggrandized, and
    combined with the narrative grammar of legends specific characteristics were reproduced in an expanded form. In particular, Park Mak?dong’s story partly
    shows the structure of hero tales such as the Baby Warrior legend, Kim Deokryeong’s
    tale, and Shin Dol?seok’s story. Through this, how a daily discourse
    is transformed into a literary narrative was examined in this study. Nevertheless,
    the process of the expanded reproduction of Park Mak?dong’s story was blocked
    by peculiar ideological factors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appearance of storytelling
    stages a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Moreo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future would not be favorable for the transmission of Park Makdong’s
    story because of its ideological limi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