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박물관과 지역공동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3.01
22P 미리보기
박물관과 지역공동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박윤옥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Ecomuseums과 새로운 박물관
    1. 지역사 (Local history)
    2. 소장품/유산 (Collection/heritage)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박물관은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과 인류 문화유산의 저장소이다 따라서, 박물관은 이미 불평등
    한 힘의 관계가 사회에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속감과 공유의식을 갖도록 돕는 개인과 사
    회의 의식을 표현하고 나누는 중요한 대리 기관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는 문화의 뿌리나 전통적
    지식, 물려받은생활방식이나기술에 근거한공동체(community) 내의 연대의식을고취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즉, 박물관은 공동체 의 과거 역사뿐만 아니라 현재의 사건들도 보여줌으로써
    공동체 의식을살려나갈능력이 있다 1)
    여기서 공동체는 이웃의 확대된 형태로 한 장소와 매우 관계가 깊은 총체적인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2) 따라서 공동체를 정의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특정 지리적 영역 내에서의 인구통계요소, 과
    거와 현재의 인구규모와 구조 등을 고려하게 된다 와서먼 (Wasserrnan)은 1989년 17차 세계박
    물관대회에서 공동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local and regional communities in the museum context, 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imes of globalisation and regionalisation. Museurns may reflect the
    nature of their communities in their presentations, engendering pride and providing inspiration.
    This will b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he new museology movement, which emphasises
    community development by forging and enhancing a sense of identity. New museology embodies
    new approaches, new notions and new concepts, empowering local people, broadening the role of
    conventional museurns, and creating new models for museums. Regionalisation or localisation
    happening in many parts of the world has coincided with a new wave in the museum world, the
    appearance of community-centred musewTlS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new breed of museums may be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museums with three main
    points of comparison, building - territory, collections - heritage, public - population. More exactly,
    this museum could be described as a cultural process, identified with a local community
    (population), on a specific territory, using the common heritage as a resource for development, as
    opposed to the more classical museum, an institution characterised by a collection, in a building,
    for a public of visitors
    Local history provides people with the opportunity to distinguish their communities with
    memories that are individual and unique to that place of natural and human-made features. 1t
    explains a place both to the people who live there and to those who visit, providing a sense of
    security. Thus museums may be one of the foremost facilities to express these links. Now, the
    criteria of collection and display have shiftecl from aesthetics to the everyday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from an object-oriented to a context-oriented approach.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traditions focusing on individual, isolated objects is giving way to an attention to the story behind the objects , to the people who used them and what they did with them.
    On a smaller scale, most localities or regions have their own museums, memorial monuments
    or historic sites for the memory of local or regional events and people, which may be a symbol of
    a spec?fic identity of the locality. These institutions or sites could increase cultur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awareness, enhancing people' s attention and interests in their regions and
    giving them pride.
    As the focus of the exhibition has been shifted from the object-centred to concept-centred,
    collecting memories appears to be invaluable to provide the meaning for objects. The past,
    usually understood as an accumulation of objects whatever natur따 or man-made relics of time,
    cannot be restricted only to something tangible. The use of oral history in museums contributes to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ringing a new dimension to
    exhibitions previously bounded by tangible material culture. The rich collective human
    experience includes beliefs, traditions, customs, social structures ,activities, skills and ways of
    behaviour prevalent in the area. This may be a powerful legacy to revive people' s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their heri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