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9.03
25P 미리보기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3권 / 1호
    · 저자명 : 한춘희

    목차

    I. 서 론
    II. 요구분석의 이론적 개관
    III.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및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요구분석의 실태와 문제점
    IV.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개선 방안
    IV. 결 론
    참고문헌

    초록

    모든 국가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실시하는 것이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요구분석이다. 요구분석
    이란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의 격차를 결정하고 그것의 본질과 원인을 점검하여 미래 행동을
    위한 우선순위를 찾는 일이다. 이 글에서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시 실시한 요구조사와 2007
    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위하여 실시한 기초조사를 분석하여 요구분석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
    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요구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밝
    혔다.
    요구분석의 모형을 검토하여 공통적으로 추출해낼 수 있는 요구분석의 요소를 바탕으로 일반적
    인 요구분석의 절차를 정립하여 활용하고, 요구분석의 내용적 측면에서 사회 변화의 모습과 방향
    그리고 미래 사회의 요구에 대한 폭넓은 조망이 필요하다. 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외교 등
    각 분야의 석학, 각 분야의 실천가, 정부, 지역사회 전문가, 교육학자, 교과교육 전문가, 학부모
    등 다양한 요구분석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며, 요구분석 내용과 대상 집단에 따른 요구분석 방법을
    다양화하고 주기적․장기적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끝으로 요구분석 결과는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요구분석 결과가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우선순위 결정
    준거인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을 토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Every nation carries out needs analysis for curriculum revision before developing a national
    curriculum. Once needs for curriculum revision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revision. In conducting needs analysis, they define the gap between what it is and what should
    be is defined, the nature and causes are identified, and priorities for future actions are decided.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needs survey taken when developing the Seventh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preliminary research conducted for another revis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also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needs
    analysis,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i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a. Needs analysis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in terms of procedure,
    content, subject, and group method so that needs for social studies can be widely accepted in
    the revision process and reflected in a revised curriculum: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odels of needs analysis in the procedure of needs
    analysis, set up a common procedure for needs analysis based on the common elements of
    needs analysis, and make use of it when revising the old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a broad perspective should be taken of the aspects and directions of social changes
    and the demands for future society in respect to the content of needs analysis for social studies.
    Third, a wide variety of individuals shoul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cluding distinguished scholars and practitioners of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diplomacy, the government, community experts, pedagogists,
    curriculum experts, and parents.
    Fourth, the methods of needs analysis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subject groups and furthermore be regular and long-term to constantly examine social needs.
    Finally,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priorities. Those who
    conduct needs analysis need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importance and feasibility, which are the reference to determine priorities, so that the results
    can serve as useful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In a country like Korea where a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holy scripture, partial
    revisions are preferred to all-out revisions when deciding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In
    addition, it's important to have research institutes conduct constant research, required
    personnel, enough applications in the field, and works of revision before making the final
    dec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