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80개
-
3도 AV 부정맥: 원인, 특징 및 간호2025.11.141. 심장의 구조와 전도 체계 심장은 중격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나뉘며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다. 심장의 전도 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푸르킨예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동방결절은 정상 환경에서 분당 60~100회의 전기자극을 일으키며, 방실결절은 심방에서 심실로 자극을 전도하는 유일한 경로이다. 4개의 심장판막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조절한다. 2. 3도 AV 블록의 원인 및 특징 3도 AV 블록은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증, 전도 체계의 퇴행성질환, 저산소증 등에 의해 발생한다. 동방결절에서 오는 자극을 방실결절이 완전히...2025.11.14
-
부정맥의 종류 및 특성2025.11.181. 자극형성장애로 인한 부정맥 자극형성장애는 심장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을 유발합니다. 동심방결절에서는 동성서맥, 동성빈맥, 동성부정맥, 동정지가 발생하고, 심방에서는 상심실성부정맥인 심방조기수축, 심방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이 나타납니다. 방실접합부에서는 방실접합부 리듬, 조기수축, 빈맥이 발생하며, 심실에서는 심실조기수축, 심실빈맥, 심실조동, 심실세동이 발생합니다. 2.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 전도장애는 심장의 전기신호 전달 경로가 차단되어 발생하는 부정맥입니다. 동방결절 차단, 방실차단, 각차단 등이 포함되며, ...2025.11.18
-
성인 완전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중환자실 케이스2025.01.221. 방실차단 방실전도차단은 심방의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 현상이나 절단에 의하여 심실로 전도되는 데에 장애가 생긴 현상을 말한다. 방실전도의 차단은 심방 내, 방실결절, His-Purkinje 계의 전도지연이나 차단으로 인하며, 히스속 전기도의 기록으로 차단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즉, 방실결절 부위에서 방실차단이 일어나면 예후가 좋고, 반대로 하부 즉, 히스속 이하에서 차단이 일어나면 예후는 불량하다. 2. 증상 및 징후 1도 방실전도 장애 - AV node에서 잠깐의 전도 지연...2025.01.22
-
동물생리학 레포트 -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2025.11.161. 심장의 박동 및 전기전달체계 심장은 펌프 작용을 하며 주기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흥분은 심방근을 거쳐 방실결절과 속가지를 통해 심실근에 전달된다. 심장박동은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으며, 교감신경은 박동수를 증가시키고 부교감신경은 감소시킨다. 정상적인 안정 상태의 박동수는 분당 60~100회이다. 2. 부정맥의 정의 및 검사방법 부정맥은 심장에서 전기 자극이 제대로 만들어지거나 전달되지 않아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이다. 검사방법으로는 심전도 검사, 24시간 심전도 ...2025.11.16
-
심장 박동 소리와 심실의 수축-이완 변화2025.05.101. 심장 박동 소리 심장 박동 소리는 심장 판막의 열림과 닫힘, 혈액의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제1심음은 심실 수축기 초기에 발생하며, 제2심음은 심실 이완기 초기에 발생합니다. 제1심음은 저음이고 둔한 소리이며, 제2심음은 고음이고 예리한 소리입니다. 심박수가 증가하면 제1심음과 제2심음을 구별하기 어려워집니다. 2. 심실 수축-이완 변화 심실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합니다. 심실 수축기에는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이 열리고, 심실 이완기에는 이들 판막이 닫힙니다. 심실 수축기에는 등용적 수축, 최대 박출, 감소된 박출...2025.05.10
-
심전도의 이해와 부정맥 진단2025.11.151. 심전도의 정의 및 목적 심전도(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심장의 부정맥, 심근경색, 전도체계의 기능 이상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심장의 전기적 현상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리듬의 변화를 감지하며, 약물이나 전해질이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정상 심전도의 파형 분석 정상 심전도는 P파(심방 탈분극), QRS 복합파(심실 탈분극), T파(심실 재분극), U파 등으로 구성됩니다. PR 간격은 0.12~0.2초, QRS 시간은 0.1초 이하, QT 간격은 RR 간격의 반 이...2025.11.15
-
부정맥의 치료2025.04.281. 미주신경자극 방법 미주신경자극 방법에는 목동맥 마사지와 발살바(Valsalva) 수기가 있다. 목동맥 마사지는 심장 전도계, 특히 굴심방결절과 방실결절의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심장 리듬의 변화를 유도한다. 발살바 수기는 배변할 때처럼 복부에 힘을 주어 미주신경을 자극한다. 이 두 방법의 효과는 일시적이다. 2. 인공 심장박동조율기 인공 심장박동조율기는 인공적으로 심박동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기구로, 파발생기와 유도전극으로 구성된다. 일시적 인공 심장박동조율기와 영구적 인공 심장박동조율기(경정맥형, 경흉부형)로 나뉜다. ...2025.04.28
-
[심장내과] 부정맥(Arrhythmia)의 종류 및 특징2025.01.091. 부정맥 부정맥이란 정상 심장 박동이 아닌 모든 심장 박동을 말합니다. 심장이 기준보다 빨리 박동하거나, 심장이 기준보다 늦게 박동하거나, 불규칙적으로 박동하거나, 규칙적이라도 정상적인 경로를 따라 전기 흐름이 일어나지 않으며, 외부 환경 변화에 심장 박동이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부정맥이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증상이 없고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호흡 곤란, 실신 등을 유발하는 부정맥이나 돌연사까지 일으킬 수 있는 부정맥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2. 심방 조기...2025.01.09
-
만기하강 산모 관리2025.01.041. 분만 1기 관리 산모의 극심한 통증(NRS 8점)과 3-5분 간격의 진통을 호소하여 간호사가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법을 교육하였습니다. 패치딘 투여 후 통증이 완화되었으나, 태아 심박동수가 낮아 산소 투여와 제왕절개 가능성을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소변 배출이 어려워 단순도뇨를 시행하여 500cc의 소변을 배출하였습니다. 1. 분만 1기 관리 분만 1기 관리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자궁 수축과 자궁 입구의 개대 정도를 면밀히 관찰하여 진행 상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태아의...2025.01.04
-
방실차단 케이스2025.01.131. 방실차단(AV block) 방실차단(AV block)은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자극이 방실결절과 히스다발을 통과할 때 지연되거나 부분적, 혹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제 1도 방실차단은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자극의 전도가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맥이며 자각증상이 없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심방에서 전달되는 전기자극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실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끔 QRS복합이 생략된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전도장애의 양상에 따라 제 1형차단과 제 2형차단으로 분류된다. 2. 제 1도 방실차단 제 1도 방실차단은 방실결절을...2025.01.13
